에스더 4장 민족을 구하려는 에스더의 일사각오
에스더 4장 민족을 구하려는 에스더의 일사각오
에 4:1
모르드개는 자기 옷을 찢고 (1____) 베 옷을 입고 (2___)를 뒤집어쓰고 성문 앞에서 대성통곡하며 금식하고 큰 소리를 지릅니다(1-2절). 이것은 큰 슬픔이 있을 때 하는 유다인의 전형적 표현입니다. 수많은 다른 유다인도 이에 동참합니다.
이 […]

에스더 3장 하만의 등장과 유다인 몰살계획
에스더 3장 하만의 등장과 유다인 몰살계획
에 3:1
유다인 에스더가 왕후가 되었습니다. 모르드개는 왕 암살음모를 에스더에게 알려 왕후의 지위를 더욱 견고히 했습니다. 모든 일이 잘 될 때 사탄의 활동이 시작됩니다. “그 후에 아하수에로 왕이 (1____) 사람 함므다다의 아들 (2____)의 […]

에스더 2장 에스더가 왕후가 됨
에 2장 에스더가 왕후가 됨
에 2:17
아하수에로는 새로운 왕후(王后)를 구합니다. 바로 이 때 모르드개와 에스더가 등장합니다. 모르드개는 수산 성에 사는 한 유다인으로 (1_____) 자손입니다(5절). 바빌론 느부갓네살에 의해 유다 왕 여고냐와 함께 포로로 잡혀(주전 597년, 왕하 24:8-17; 대하 36:9-10 […]

에스더 1장 왕후 와스디가 폐위됨
에스더 1장 왕후 와스디가 폐위됨
에 1:1
에스더서는 페르시아의 아하수에로(Xerxes, 주전 486-465) 왕 통치 시대가 배경입니다. 아하수에로는 (1____)로부터 (2____)까지 127개 지방을 다스리는 위대한 왕입니다(1절). 왕이 된지 3년 째 되던 해에 180일 동안 “그의 영화로운 나라의 (3____)과 (4____)의 혁혁(赫赫)함”을 나타냅니다(4절). […]

에스더 서론
에스더
주전 539년: 메데-바사 왕국의 등장(고레스), 주전 538년 제1차 예루살렘 귀환 주전 529년: 콤비세스(Combyses)가 왕위 계승 주전 521년: 다리오(Darius)가 왕위를 계승 주전 515년: 학개와 스가랴 선지자의 권면과 격려로 스룹바벨과 대제사장 예수아의 지휘 아래 예루살렘의 성전이 완공 주전 486년: 아하수에로(Xerxes I: 크세르크세스, 재위 주전 486-465)가 왕이 됨(에스더서의 배경) 주전 465년: 아닥사스다(Artaxerxes I; ~주전 […] ![]() |
에스라 6장 성전재건과 봉헌식, 그리고 유월절
스 6장 성전재건과 봉헌식, 그리고 유월절
스 6:14
다리오 왕이 편지를 받고 문서창고와 보물전각을 조사해 한 두루마리 문서를 발견합니다. 고레스 왕의 조서입니다. 다리오 왕은 다시 예루살렘 성전을 신속히 재건하라고 조서를 내립니다(8-12절). 이 조서에 의하면 다리오 왕이 하나님을 믿는 신앙이 투철한 듯 보입니다. “하나님의 (1____) 공사를 막지 말고 […]

에스라 5장 성전재건의 재개
스 5장 성전재건의 재개
스 5:1
주전 520년 경 예루살렘 성전재건은 방해꾼들로 인해 지연됩니다. 그러나 선지자들, 곧 (1____)와 스가랴의 격려를 통해 (2______)과 예수아가 성전재건을 다시 시작합니다(1-2절). 성전재건은 상당히 잘 진행됩니다. “……하나님의 성전에 나아가 본즉 성전을 큰 (3___)로 세우며 벽에 […]

스가랴 14장 마지막 때(3): 여호와의 날
슥 14장 마지막 때(3): 여호와의 날
슥 14:8
“여호와의 날”에 관한 예언입니다. 세상의 마지막 때에 관한 내용입니다. 그 때에는 다시 한 번 예루살렘이 위험한 상황에 빠질 것(1-2절)이지만 동시에 구원도 일어날 것입니다. 구원의 날은 하나님의 임재로 이루어질 것입니다. “그 날에 […]

스가랴 13장 마지막 때(2): 침을 당하는 선한 목자
슥 13장 마지막 때(2): 침을 당하는 선한 목자
슥 13:1
“그 날”(12-14장에서 17번 등장하는 특징적 단어)에는 “죄와 더러움을 씻는 (1___)”이 다윗의 족속과 예루살렘의 주민을 위하여 열릴 것입니다(1절) 하나님의 은혜를 간구하는 마음이 생긴 백성은 죄와 더러움을 씻는 샘으로 인해 새로운 […]

스가랴 12장 마지막 때(1): 고난 당하는 메시아
슥 12장 마지막 때(1): 고난 당하는 메시아
슥 12:10
마지막 12-14장은 마지막 때의 심판에 대한 것들로 가득합니다. 하나님은 “그 날”(12:4, 6, 8, 9, 11; 13:1, 2, 4; 14:1, 4, 6)에 자기 백성이 다른 민족에 의해 많은 어려움을 겪을 것이지만 […]

스가랴 11장 거짓 목자와 악한 양 떼, 그리고 참 목자
슥 11장 거짓 목자와 악한 양 떼, 그리고 참 목자
슥 11:16
스가랴는 하나님으로부터 거짓 목자에 의해 “잡혀 죽을 양 (1___)”(4절)를 먹이라는 명령을 받습니다. “참으로 가련한 (2___)들”(7절)은 “세 목자”에 의해 고통당했습니다(8절). “세 목자”가 누구인지 분명하지 않지만 당시 영적 지도자들이었을 […]

스가랴 10장 목자 하나님이 양떼를 구원
슥 10장 목자 하나님이 양떼를 구원
슥 10:8
언약의 하나님을 떠난 이스라엘의 영적 상황은 목자 없는 양 같습니다. 하나님이 비를 내려주지만, 그들은 바알과 온갖 우상에게 도움을 청했습니다. 거짓 목자들의 탓이 큽니다. 거짓 목자는 “숫염소”(3절)로 표현됩니다(렘 50:8). 이스라엘은 “드라빔”과 “복술자”를 […]

스가랴 9장 원수의 멸망과 언약백성의 구원
슥 9장 원수의 멸망과 언약백성의 구원
슥 9:9
스가랴 9-14장은 예언의 후반부에 속합니다. 성전건축 문제는 더 이상 중심 주제가 아닙니다. 예루살렘을 중심으로 한 하나님의 통치가 이루어지는 하나님 나라가 핵심 주제입니다. 특별히 메시아에 대한 묘사가 많이 등장하는 점이 도드라집니다. 양을 […]

스가랴 8장 예루살렘의 회복과 이방인의 구원
슥 8장 예루살렘의 회복과 이방인의 구원
슥 8:23
언약의 하나님이 유다와 이스라엘을 다시 돌아오게 하고 회복시킬 것입니다. “내가 (1____)에 돌아와 예루살렘 가운데 거하리니, 예루살렘은 진리의 (2____)이라 일컫겠고 만군의 여호와의 산은 (3____)이라 일컫게 되리라.”(3절) 언약백성의 구성원은 “늙은 남자들과 늙은 여자들”(4절)과 […]

스가랴 7장 금식보다 순종!
슥 7장 금식보다 순종!
슥 7:1
처음 예언이 있은 후 2년이 지난, 주전 518년(“다리오 왕 제 사 년 아홉째 달” 1절) 여호와의 말씀이 스가랴에게 임합니다. 벧엘은 과거 우상숭배의 중심지입니다. 벧엘로부터 어떤 사람이 사레셀과 레겜멕렉과 그의 부하들을 보내어 하나님에게 제사하고(여호와에게 은혜를 구하고) 예루살렘의 제사장과 선지자들에게 (1___)월과 (2___)월에 금식하고 […]

스가랴 6장 여덟째 환상: 왕과 제사장의 평화의 의논
슥 6장 여덟째 환상: 왕과 제사장의 평화의 의논
슥 6:13
여덟째 환상은 네 병거입니다. 구리로 된 두 산 사이에서 네 마리의 말이 이끄는 네 병거가 나와 북쪽 땅과 남쪽 땅, 그리고 온 땅에 두루 다닙니다. 고대 근동에서는 구리, 곧 청동으로 된 두 산은 하늘 문을 가리킨다고 믿었습니다. […]

스가랴 5장 여섯ㆍ일곱째 환상: 두루마리(죄의 심판)와 에바(죄의 제거)
슥 5장 여섯ㆍ일곱째 환상: 두루마리(죄의 심판)와 에바(죄의 제거)
슥 5:1
1-4절에는 여섯째 환상이 나오는데 날아가는 두루마리에 관한 것입니다. 크기가 거대합니다. 가로 10미터 세로 5미터 정도(길이 20규빗 × 너비 10규빗) 됩니다. 이 두루마리는 십계명 돌판처럼 양면에 앞 뒤 모두에 기록된 […]

스가랴 4장 다섯째 환상: 두 직분자를 통한 하나님의 일
슥 4장 다섯째 환상: 두 직분자를 통한 하나님의 일
스가랴 3장 넷째 환상: 죄 용서
슥 3장 넷째 환상: 죄 용서
슥 3:9
넷째 환상이 이어집니다. 욥의 경우처럼 (1____)이 하나님의 천사 우편에 서서 대제사장 여호수아를 고발하며 대적합니다(1절). 본래 “사탄”은 ‘고발자’입니다. 아마도 대제사장 여호수아가 흠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여호수아가 (2_____) 옷을 입고 천사 앞에 서 있는지라.”(3절) 포로 귀환 후 종교 지도자였던 여호수아의 […]

스가랴 2장 셋째 환상: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
슥 2장 셋째 환상: 하나님의 심판과 구원
슥 2:1
셋째 환상(1-13절)이 이어집니다. 한 사람이 “(1____)줄”을 손에 잡고 예루살렘을 측량합니다(1-2절). 1장에 “먹줄”(1:16)이라고 표현 된 것과 같습니다. 예루살렘이 다시 재건될 것인데 얼마나 많은 사람이 와서 함께 살게 될 것인지 그 경계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