욥기 10장 욥의 대답(2)
욥기 10장 욥의 대답(2)
욥 10:2
욥은 하나님에게 투정하듯 말합니다. 왜 그럴까요? “내 영혼이 살기에 (1____)하니 내 (2____)을 토로하고 내 (3____)이 괴로운 대로 말하리라.”(1절) 욥은 하나님에게 자신의 마음을 직접적으로 말합니다. “……무슨 (4____)으로 나와 더불어 변론하시는지 내게 알게 하옵소서.”(2절) 인간은 […]

욥기 9장 욥의 대답(1)
욥기 9장 욥의 대답(1)
욥 9:17
욥의 반론이 시작됩니다. 욥은 그 모든 고통 속에서도 하나님의 전지전능하심을 우주만물의 창조를 예로 들면서 고백합니다. 그러나 이 고백은 찬양이 아니라, 고통 속에서 나오는 원망 섞인 불평입니다. 욥은 하나님을 “(1____)할 수 없는 큰 […]

욥기 8장 빌닷의 첫 번째 말
욥기 8장 빌닷의 첫 번째 말
욥 8:7
욥의 변론(6-7장)이 있은 후 이제 친구 빌닷의 반론(8장)이 시작됩니다. 빌닷은 엘리바스와 달리 좀 흥분한 상태인 것 같습니다. “네가 어느 (1___)까지 이런 말을 하겠으며, 어느 때까지 네 입의 말이 (2____) 바람과 같겠는가?”(2절)라는 […]

욥기 7장 욥의 대답(2)
욥기 7장 욥의 대답(2)
욥 7:15
욥의 삶이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그리고 그 고통이 얼마나 오래 지속되고 있는지 보여줍니다. 욥은 벌써 “여러 (1___)째”(3절) 고통을 받고 있습니다. “내가 누울 때면 말하기를 언제나 일어날까, 언제나 밤이 갈까, 하며 새벽까지 이리 뒤척, 저리 […]

욥기 6장 욥의 대답(1)
욥기 6장 욥의 대답(1)
욥 6:24
욥의 항변이 시작됩니다. 친구로부터 도움을 기대했던 욥은 의외의 공격을 받습니다. 욥은 자신의 고통이 얼마나 심한지 토로합니다. 또 욥은 “나의 말이 (1____)하였구나”(3절)라고 후회합니다. 욥이 자신의 생일을 저주했던 것(3:1)을 […]

욥기 5장 엘리바스의 첫 번째 말(2)
욥기 5장 엘리바스의 첫 번째 말(2)
욥 5:17
엘리바스는 욥에게 하나님을 찾으라고 권합니다(1, 8절). 하나님의 징계를 달게 받으라(17절)고 훈수를 둡니다. “볼지어다. 하나님께 (1____)를 받는 자에게는 복이 있나니, 그런즉 너는 전능자의 징계를 (2____)여기지 말지니라.” 구구절절 옳은 말만 늘어놓습니다. 하지만, 엘리바스의 […]

욥기 4장 엘리바스의 첫 번째 말
욥기 4장 엘리바스의 첫 번째 말(1)
욥 4:1
욥의 친구 엘리바스가 먼저 일어나 욥에게 친구로서 권면(4-5장)합니다. 엘리바스는 욥의 고통이 까닭 없이 생긴 것이 아니라고 주장합니다. 분명히 욥이 잘못을 저질렀기 때문에 고통이 온 것이라고 말합니다. “생각하여 보라! (1___) 없이 망한 […]

욥기 3장 욥의 탄식
욥기 3장 욥의 탄식
욥 3:1
그 후 욥은 고통 속에서 “자기의 (1____)을 저주”합니다(1절). 욥의 고난이 얼마나 심했으면 이런 탄식이 나올까요? 욥의 삶은 고통 그 자체입니다. 3-26절까지의 시(詩)가 바로 욥의 삶의 고통이 얼마나 비참한지를 보여줍니다. 욥은 생명의 허무함과 […]

욥기 2장 욥의 고통과 친구의 방문
욥기 2장 욥의 고통과 친구의 방문
욥 2:9
사탄은 포기하지 않습니다. 사탄은 만약 “그의 (1___)와 (2___)”을 치면(5절) 틀림없이 하나님을 욕할 것이라고 도전합니다. 하나님은 사탄에게 욥의 생명을 해하지 않는 조건으로 허락합니다. 그 후 욥의 발바닥부터 머리끝까지 종기가 납니다. 무시무시한 질병입니다. […]

욥기 1장 욥의 경건과 사탄의 시험
욥기 1장 욥의 경건과 사탄의 시험
욥 1:12
우스 땅에 (1___)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온전하고 (2____)하여 하나님을 경외하며 (3___)에서 떠난 자”(1절)입니다. 욥은 과연 죄가 없는 자일까요? 아담 이후로 죄가 없는 사람이 있다는 말일까요? 이 표현은 하나님이 […]

욥기 개요

느헤미야 13장 느헤미야의 교회개혁
느헤미야 13장 느헤미야의 교회개혁
느 13:1
느헤미야는 예루살렘 성벽재건을 마친 후(봉헌식 후) 유다 총독으로서의 직분도 정리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시 페르시아로 돌아간 것입니다. 느헤미야는 아닥사스다 왕 20년(1:1; 2:1)에 예루살렘의 총독으로 부임
해 아닥사스다 왕 32년까지 총 12년(주전 444-432년) 다스리고 다시 돌아간 […]

느헤미야 12장 제사장과 레위인의 명단과 성벽 봉헌식
느헤미야 12장 제사장과 레위인의 명단과 성벽 봉헌식
느 12:27
11장에는 거주자들의 명단이 열거되었지만, 12장에는 제사장과 레위인의 명단이 나옵니다. 스룹바벨과 함께 바빌론 포로에서 돌아온 제1세대의 제사장과 레위인의 이름이 나열됩니다(1-9절). 이 이름은 개인이라기보다는 ‘가계’ 혹은 ‘문중’을 뜻합니다. 이미 100년 전에 돌아온 가문입니다. 대제사장의 가문에 대한 것도 […]

느헤미야 11장 삶의 터전을 정하다
느헤미야 11장 삶의 터전을 정하다
느 11:1
이스라엘의 지도자들은 예루살렘에 거주합니다. 수도에 사는 것을 좋아했기 때문일까요? 그렇지 않은 것 같습니다. 오히려 지방에 사는 것을 좋아한 것 같습니다. 당시 예루살렘을 지키며 살 백성이 반드시 […]

느헤미야 10장 언약식 참여자 명단
느헤미야 10장 언약식 참여자 명단
느 10:1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과 다시 언약을 체결합니다. 그들 스스로 율법의 말씀을 지키겠다고 다짐하고 서명합니다. 그 명단이 1-27절까지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 (1____)한 자는 하가랴의 아들 (2____) 느헤미야와 시드기야……” 느헤미야를 포함해 제사장들과 레위인의 이름 […]

느헤미야 9장 회개와 언약식
느헤미야 9장 회개와 언약식
느 9:1
초막절은 7월 15일에 시작되고 22일에 끝납니다. 절기가 끝난 후 이틀이 지난 날(7월 24일) 이스라엘 자손이 모두 한 장소에 모입니다. 자신이 얼마나 큰 죄인인지 알게 됩니다. 양심에 […]

느헤미야 8장 언약의 말씀을 낭독함
느헤미야 8장 언약의 말씀을 낭독함!
느 8:18
이스라엘의 월력으로 7월 1일은 한 해의 시작입니다. 이 날을 나팔절(喇叭節; the Feast of Trumpets)이라고 부릅니다(레 23:24). 나팔을 불면서 한 해의 시작을 알리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이 날 모든 백성이 예루살렘에 모입니다. 그들은 […]

느헤미야 7장 두명의 지도자와 제1차 예루살렘 귀환자의 명단 재확인
느헤미야 7장 두 명의 지도자와 제1차 예루살렘 귀환자의 명단 재확인
느 7:5
성벽재건을 완성 한 후 문짝을 달아 일을 마무리한 느헤미야는 내부조직을 정비합니다. 예루살렘의 총 책임자로 동생 (1_____)와 관원 하나냐를 함께 세웁니다(1절). 하나니는 그의 동생으로 예루살렘의 상황을 느헤미야에게 알린 장본인입니다(1:2). 하나냐는 (2____)스러운 사람이고 […]

느헤미야 6장 느헤미야를 향한 음모와 성벽 완공
느헤미야 6장 느헤미야를 향한 음모와 성벽 완공
느 6:15
산발랏과 도비야와 게셈은 성벽이 거의 완성되어 가는 것을 보고 다시 방해공작을 펼칩니다. 그들은 느헤미야를 네 번이나 만나 얘기를 하자고 하지만, 저의는 살해하려는 것입니다. 느헤미야는 그 전략에 말려들지 않습니다. 다섯 번째는 “봉하지 않은 (1____)”(5절)를 […]

느헤미야 5장 내부 문제와 훌륭한 지도자 느헤미야
느헤미야 5장 내부 문제와 훌륭한 지도자 느헤미야!
느 5:1
문제는 외부가 아니라 내부에서 찾아옵니다. 백성이 식량이 부족한 상황에서 스스로 재산과 자식을 부자에게 저당 잡히고 곡식을 빌려 먹은 것으로 보입니다. 부자와 지도자들이 고리대금업(高利貸金業)을 한 것입니다. 율법은 내국인을 상대로 하는 고리대금업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