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48편 위대한 왕이신 하나님
시편 48편 위대한 왕이신 하나님
시 48:1
이 시는 예루살렘을 공격하려다가 혼비백산 도망가고 말았던 산헤립의 공격으로부터 벗어난 시점에 지은 것이 아닌가 합니다(사 37:35-37). 시인은 예루살렘이 너무 좋습니다. 하나님이 정하고 보호하고 지키는 성입니다. 예루살렘을 방문하는 순례자들이 이 시를 즐겨 불렀을 것입니다. 이 […]

시편 47편 큰 왕이신 하나님
시편 47편 큰 왕이신 하나님
시 47:2
이 시는 전쟁에서 승리를 거둔 후 불렀던 찬양으로 보입니다. “여호와께서 만민을 (1____)에게, 나라들을 우리 발 아래 (2____)하게 하시며”(3절) 너무나 기뻐 (3_____)을 치고 즐거운 (4____)로 하나님께 외치라고 합니다(1절). 더 […]

시편 46편 피난처 하나님
시편 46편 피난처 하나님
시 46:1
시편 제2권(42-72편)의 서론격인 42-45편에 이어지는 46-48편은 세상에서 겪게 되는 온갖 환난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백성은 안전하다는 확신을 노래합니다. 46편과 48편은 하나님의 성 ‘예루살렘의 안전’과 47편은 그곳에서 ‘통치하시는 위대한 왕’에 관한 노래입니다. 이 […]

시편 45편 왕의 혼인식 노래
시편 45편 왕의 혼인식 노래
시 45:17
이 시는 ‘왕의 혼인식’에서 왕을 찬양하는 노래로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신부는 외국의 공주였을 것(10, 12절)이고, 국제적 중요성을 지닌 신부와 결혼하는 다윗 왕가의 위엄을 보여줍니다(3-5절). 10절의 “딸”은 왕의 신부를 의미합니다. 이 시의 왕은 […]

시편 44편 왕이신 우리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버리지 않으셔!
시편 44편 왕이신 우리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버리지 않으셔!
시 44:3
이 시는 개인보다 국가 입장에서 쓴 것으로 보입니다. ‘나’라는 주어가 나오지만, ‘우리’라는 주어가 대부분입니다. 이 시가 이스라엘 역사 가운데 어느 시점에 관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습니다. 바빌론 포로 […]

시편 43편 낙심 속에서 하나님을 갈망함(2)
시편 43편 낙심 속에서 하나님을 갈망함(2)
시 43:5
본래 이 시는 42편과 하나의 시였습니다. 43편에 제목이 없고 42편과 같은 후렴(6절)이 반복되는 것에서 알 수 있습니다. 시인은 사람들로부터 박해받고 하나님으로부터 버림받고 있다고 느낍니다(2절). 그래서 기도합니다. “하나님이여, 나를 (1____)하시되 경건하지 아니한 나라에 대하여 내 […]

시편 42편 낙심 속에서 하나님을 갈망함(1)
시편 42편 낙심 속에서 하나님을 갈망함(1)
시 42:11
시편 42편은 제2권(42-72편)의 첫 번째 시입니다. 42-43편은 하나의 시로 보입니다. 후렴구가 같기 때문입니다. “내 영혼아 네가 어찌하여 (1____)하며 어찌하여 내 속에서 (2____)해 하는가? 너는 하나님께 (3____)을 두라. 그가 나타나 도우심으로 말미암아 내가 여전히 […]

시편 41편 회복자의 감사 찬송
시편 41편 회복자의 감사 찬송
시 41:13
시편 41편은 40편과 하나를 이루며 시편 제1권으로 마무리됩니다. 복 있는 사람(1:1)으로 시작해 복 있는 자(41:2)로 끝납니다.
시인은 자신의 질병과 죄가 관련 있음을 고백합니다. “내가 주께 (1____)하였사오니, 나를 고치소서.”(4절) 하나님에게 은혜를 구합니다. 견디기 힘든 것은 주변에 있는 원수들입니다. 그들은 […]

시편 40편 실망스런 삶에서 감사
시편 40편 실망스런 삶에서 감사
시 40:12
시편은 전체 5권의 묶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1권은 1-41편까지입니다. 제1권은 처음 1-2편으로 시작하고 마지막 40-41편으로 마칩니다. 공통으로 등장하는 표현이 “……한 자는 복이 있다”(2:12; 40:4)입니다. 공통점이 돋보입니다. 복이 […]

시편 39편 짧은 인생에 고통의 기도
시편 39편 짧은 인생에 고통의 기도
시 39:9
이 시는 “여두둔 형식으로 부르는 노래”입니다. “여두둔”(Jeduthun)은 다윗 왕의 세 명의 노래하는 자 가운데 한 명입니다(대상 9:16; 16:41; 대하 5:12; 35:15). “여두둔 형식으로 부르는 노래”가 무엇인지 정확히 모릅니다. 여두둔이 부른 특별한 노래 형식인 것으로 봅니다. […]

시편 38편 시련 속에서 죄를 기억함(셋째 참회 시)
시편 38편 시련 속에서 죄를 기억함(셋째 참회 시)
시 38:18
시편 38편은 “기념하는 시”라고 제목이 붙어 있습니다. “기념”은 ‘기억하는 것’(to remember)입니다. 좋고 행복한 것을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죄”를 기억하는 시입니다. 이 시는 일곱 개의 ‘회개 시’ 혹은 ‘참회 시’(6, 32, […]

시편 37편 악인의 번영과 의인의 소망
시편 37편 악인의 번영과 의인의 소망
시 37:1
시편 37편은 완전한 형태는 아니지만, 2절 묶음으로 히브리어 알파벳 형식입니다. 경건한 지혜에 대한 가르침으로 시편 1, 73, 91편; 시편 92:6-9, 12-15, 시편 111, 119, 127~128, 133편과 함께 ‘지혜시’에 속합니다. 시편 37편은 36편에 이어 […]

시편 36편 인간의 불경건과 하나님의 은혜에 신실함
시편 36편 인간의 불경건과 하나님의 은혜에 신실함
시 36:1
시편 36편 1-4절과 5-9절은 내용적으로 대칭입니다. 첫 네 절은 죄인의 불경건한 모습을 표현 합니다. 악인은 자기 죄가 드러나지 않고 미움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자만합니다(2절). “그의 입에서 나오는 말은 죄악과 (1____)이라. 그는 […]

시편 35편 구원 받은 자의 감사
시편 35편 구원 받은 자의 감사
시 35:1
시편 35편도 34편처럼 ‘개인적 시’입니다. 적의 공격으로부터 고난당하는 성도가 하나님의 도움을 요청하는 절규어린 기도입니다. 이 시는 세 부분(1-10절, 11-18절, 19-28절)로 나뉩니다. 각 부분 첫머리는 경건한 자의 고난에 대해 표현합니다. 이어서 구원을 요청합니다. 마지막으로 […]

시편 34편 하나님의 보호를 찬양(개인의 노래)
시편 34편 하나님의 보호를 찬양(개인의 노래)
시 34:8
시편 33편이 ‘교회의 노래’라면, 34편은 ‘개인의 노래’입니다. “내가”, “나”, “네”라는 단어가 전반적으로 돋보입니다. 34편은 35-36편을 중간에 두고 37편까지 한 묶음 시로 보입니다. 34편은 히브리어 알파벳을 이용한 22행시 형식입니다. 제목이 “다윗이 (1______) 앞에서 (2____) […]

시편 33편 구원받은 백성의 찬양(교회의 노래)
시편 33편 구원받은 백성의 찬양(교회의 노래)
시 33:12
시편 33편은 한 묶음(25-33편) 시의 마지막에 해당합니다. 이 시편은 25편처럼 알파벳 시는 아니지만, 22개의 알파벳 개수처럼 총 22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3편의 분위기는 ‘감사와 찬송’(2절), ‘즐거움과 아름다움’(3, 21절)이 가득합니다. 32편의 하나님으로부터 죄를 용서 받은 ‘의인들’(1절)이 […]

시편 32편 용서하시는 하나님께 감사(둘째 참회 시)
시편 32편 용서하시는 하나님께 감사(둘째 참회 시)
시 32:1
이 시편은 “마스길”(시 42, 44-45, 52-55, 74, 78, 88-89, 142편에 등장하는 제목)인데 ‘교훈’ 혹은 ‘교리’에 해당되는 말입니다. 하나님은 정직하게 죄를 고백하고 하나님의 다스림을 받는 자들에게 ‘용서’를 선물한다는 교훈입니다. 시편 […]

시편 31편 고난당하는 자에게 반석과 산성 되신 하나님
시편 31편 고난당하는 자에게 반석과 산성 되신 하나님
시 31:13
이 시의 중심 구절은 13절입니다. “내가 무리의 (1____)을 들었으므로 사방이 (2_____)으로 감싸였나이다. 그들이 나를 치려고 […]

시편 30편 좌절과 은혜
시편 30편 좌절과 은혜
시 30:1
이 시를 읽으면 절망과 좌절 속에서 구원 받은 성도의 감사를 느낄 수 있습니다. 시의 제목은 “성전 (1____)가”입니다. 다윗의 시온 성 정복 때나 혹은 다윗이 압살롬의 반란으로부터 다시 회복되어 예루살렘으로 돌아온 후에 부른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시편 29편 하나님의 영광을 언약백성이 찬양하리!
시편 29편 하나님의 영광을 언약백성이 찬양하리!
시 29:1
시편 29편은 한 묶음시(25-33편)의 중간에서 균형을 잡아줍니다. 하나님의 놀라운 권능과 능력을 노래하는 ‘찬양시’입니다. “너희 권능 있는 자들아! 영광과 (1____)을 여호와께 돌리고 돌릴지어다.”(1절) “권능 있는 자들”은 ‘신의 아들들’로 세상에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