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위기 8장 제사장 위임식
레위기 8장 제사장 위임식
레 8:30
어떤 사람은 레위기를 역사서가 아니라, 율법서로 분류하려 합니다. 레위기는 분명히 역사서입니다. 8장은 제사장을 임직하는 역사에 대한 것입니다. 하나님은 시내 산에서 언약을 체결하시고 이스라엘 백성이 어떻게 하나님과 교제할 수 있는지 가르쳐 주셨고 그 명령대로 모세가 다 순종합니다. 1-5장은 […]

레위기 7장 제사장 입장에서의 속건제와 화목제
레위기 7장 제사장 입장에서의 속건제와 화목제
레 7:11
속건제의 규례도 이미 다뤄졌지만(5:14-19; 6:1-7) 제사장의 관점에서 다시 반복됩니다. 속건제의 제물(고기)과(와) 번제물의 (1____)과 소제물은 모두 제사장이 가집니다(7-10절). 제사장은 이런 것으로 양식을 삼았습니다.
화목제물의 규례도 이미 다뤄졌지만(3장) 다시 반복됩니다. 유일하게 보통 사람도 제사 음식을 먹을 수 있는 […]

레위기 6장 속건제 & 제사장 입장에서의 번제ㆍ소제ㆍ속죄제
레위기 6장 속건제 & 제사장 입장에서의 번제ㆍ소제ㆍ속죄제
레 6:9
6장 […]

레위기 5장 속죄제(태만의 죄) & 속건제(부지중과 고의로 지은 죄)
레위기 5장 속죄제(태만의 죄) & 속건제(부지중과 고의로 지은 죄)
레 5:19
속죄제에는 다른 제사와 달리 다양한 제물이 허용됩니다. 만약 양이나, 어린 양 혹은 염소가 없을 정도로 가난하면 죄를 어떻게 용서 받을 수 있을까요? 하나님은 […]

레위기 4장 속죄제(제사장의 범죄 & 회중, 족장, 평민이 부지중에 지은 죄)
레위기 4장 속죄제(제사장의 범죄 & 회중, 족장, 평민이 부지중에 지은 죄)
레 4:3
4:1-6:7절까지는 ‘속죄제’와 ‘속건제’에 대하여 다루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제사는 앞의 세 가지(번제, 소제, 화목제)와 강조점에 있어서 […]

레위기 3장 화목제
레위기 3장 화목제
레 3:1
화목제(和睦祭)는 의무가 아닙니다. 자원하는 제사입니다. 제물의 일부는 하나님께 드리고, 일부는 제사장에게, 그리고 나머지는 예배자들이 함께 먹습니다. 화목제물의 특징은 암컷과 수컷의 구별이 없다는 것입니다. 다른 특징은 내장 사이에 있는 (1____)을 골라 향기로운 […]

레위기 2장 소제
레위기 2장 소제
레 2:1
2장은 소제에 관한 지침입니다. ‘소제’(素祭, Grain Offering)의 ‘소’는 ‘흰색 素’이고 ‘제사 祭’인데, ‘흰색 제사’라는 뜻입니다. 곡식이 흰색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소제(곡식제사)의 형식은 다양합니다. 1-3절은 요리되지 않은 곡식으로 드리는 제물이고, 4-10절은 요리된 음식으로 드리는 소제이고, 11-16절은 여러 소제에 […]

레위기 서론 + 레위기 1장 번제
레위기
레위기(Levi+記)는 레위지파와 그 직무와 관련된 책입니다. 레위기의 중심 내용은 20장 26절입니다. “너희는 나에게 (1____)할지어다. 이는 나 여호와가 거룩하고 내가 또 너희를 나의 (2____)로 삼으려고 너희를 만민 중에서 구별하였으니라.” 이 말씀은 출애굽기 19장 6절의 성취입니다. “너희가 내게 대하여 제사장 나라가 되며 거룩한 (3____)이 되리라.”
모든 율법과 규정들은 […]

출애굽기 40장 성막의 완성
출애굽기 40장 성막의 완성
출 40:38
출애굽한 지 1년이 되던 날, 첫째 달 (1___)하루에 성막을 완성합니다(2절). 히스기야가 더러워진 성전을 청결케 하던 때가 바로 1월 1일입니다(대하 29:17). 출애굽 원년을 기념하는 1월 1일에 성막을 세우는 것은 의미가 있습니다. 성막을 세우고 그 안에 들어가야 할 것을 […]

출애굽기 39장 제사장의 옷, 흉패, 여러 옷들 그리고 거룩한 패
출애굽기 39장 제사장의 옷, 흉패, 여러 옷들 그리고 거룩한 패
출 39:1
모세는 하나님이 출애굽기 28장 1-43절에서 명령한 것을 다시 언급하며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1____)하신 대로”(1절) 다 만들었음을 강조합니다. 제사장의 ‘옷’은 거룩합니다. 하나님이 정해 주신 방법대로 만들어야 합니다. ‘관’은 세마포로 만듭니다. 순금으로 만든 ‘패’가 […]

출애굽기 38장 번제단, 놋 물두멍, 성막 울타리 그리고 성막 재료의 양
출애굽기 38장 번제단, 놋 물두멍, 성막 울타리 그리고 성막 재료의 양
출 38:9
‘번제(燔祭)단’은 나무에 놋을 씌워 만들었다고 ‘놋제단’(27:1-8)이라고도 불립니다. 이곳에서 제물을 구워(구울 번: 燔) 제사 드립니다. 번제단에서 제사한 후 성소에 들어갈 때 손을 씻을 놋 물두멍이 […]

출애굽기 37장 언약궤, 진설병 상, 등잔대와 분향할 단
출애굽기 37장 언약궤, 진설병 상, 등잔대와 분향할 단
출 37:1
브살렐은 언약궤와 상, 등잔대, 분향할 제단, 번제단, 놋 물두멍, 그리고 성막 울타리를 만듭니다. ‘언약궤’ 안에는 십계명 돌판 두 개가 들어 있고 뚜껑은 속죄소로 두 천사 그룹이 날개로 감싸고 있습니다. 성소의 중심은 속죄소입니다. […]

출애굽기 36장 넉넉한 봉헌물로 성막을 만듦
출애굽기 36장 넉넉한 봉헌물로 성막을 만듦
출 36:2
브살렐과 오홀리압, 그리고 지혜와 총명의 은사를 소유한 자들은 성막과 그 안에 들어갈 집기와 성막 뜰에 놓여 질 물건을 만듭니다. 하나님이 모세에게 명령하면 모세가 그들에게 지시하고, 그들은 그대로 만듭니다. ‘증거궤’는 25장 10-22절에 명령된 대로 만듭니다. ‘진설병’(陳設餠)을 […]

출애굽기 35장 성막을 짓기 위한 봉헌물과 일꾼들
출애굽기 35장 성막을 짓기 위한 봉헌물과 일꾼들
출 35:29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이 거할 장막을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나 (1____)일에는 일을 하지 말아야 합니다(2-3절). 하나님이 자기 백성에게 쉼과 안식을 줄 것입니다. 일 할 때가 있고 쉴 때가 있습니다. 하나님의 명령을 지키면 언제나 좋습니다.
하나님의 성막을 만들기 […]

출애굽기 34장 모세의 얼굴에서 하나님의 영광이 비취다!
출애굽기 34장 모세의 얼굴에서 하나님의 영광이 비취다!
출 34:1
하나님은 다시 언약을 세우십니다. 모세는 두 돌 판을 스스로 마련해 시내 산으로 올라갑니다. 하나님이 모세에게 말합니다. “여호와라! 여호와라! 자비롭고 은혜롭고 노하기를 더디 하고 인자와 진실이 많은 하나님이라. 인자를 (1____)까지 베풀며 악과 과실과 (2___)를 용서하리라. […]

출애굽기 33장 성막이 아닌, 회막에 나타나신 하나님
출애굽기 33장 성막이 아닌, 회막에 나타나신 하나님
출 33:11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이 함께 가지 않겠다는 말을 듣고 슬퍼합니다. 스스로 장식품을 몸에서 다 떼어 냅니다. 모세는 장막을 이스라엘 가운데 두지 않고 진 바깥에 둡니다. 하나님이 죄인 이스라엘을 모두 죽일 것 같기 때문입니다. 모세가 장막, […]

출애굽기 32장 금 송아지 우상숭배와 징벌
출애굽기 32장 금 송아지 우상숭배와 징벌
출 32:9
모세가 시내 산에 올라간 지 오래되었습니다. 소식이 없자 백성이 아론에게 말합니다. “일어나라. 우리를 위하여 우리를 인도할 (1___)을 만들라.”(1절) 백성은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콩알만 합니다. 지도자가 사라지자 불안합니다. 불안과 초조는 신의 형상과 모양을 만들게 했습니다. 아론은 […]

출애굽기 31장 성막 제작자와 안식일
출애굽기 31장 성막 제작자와 안식일
출 31:13
모든 성소의 기구를 만든 사람은 유다 지파의 (1_____)과 단 지파의 오홀리압입니다(2-6절). “하나님의 (2___)을 그에게 충만하게 하여 (3____)와 총명과 (4____)과 여러 가지 재주로 정교한 일을 (5____)하여 금과 은과 놋으로 만들게 하며”(3-4절) 하나님은 사람의 재능을 사용하십니다. “……지혜로운 마음이 […]

출애굽기 30장 분향단, 속전, 거룩한 향 기름과 향
출애굽기 30장 분향단, 속전, 거룩한 향 기름과 향
출 30:1
이제 분향할 제단(분향단)과 생명의 속전(贖錢)과 놋 물두멍과 거룩한 향 기름과 향을 만들라고 하십니다. 향단에는 향을 피우는 데 사용하는 데 불을 사용하지만, 번제단과는 의미가 완전히 다릅니다. 번제단은 죄 용서를 위한 것이지만, 향단은 죄를 용서 […]

출애굽기 29장 제사장 위임식과 매일 번제
출애굽기 29장 제사장 위임식과 매일 번제
출 29:1
하나님은 아론과 그의 아들을 제사장으로 세우기 위해 ‘위임식’을 하라고 하십니다. 제사장 위임식 규례는 레위기 8장 1-36절에 상세하게 나옵니다. 수송아지 하나로 속죄제를 드리고 숫양 하나는 번제, 다른 숫양은 위임 식의 숫양입니다. 흔들어 드리는 ‘요제’와 올려드리는 ‘거제’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