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기 4장 언약백성을 향한 권면
신명기 4장 언약백성을 향한 권면
신 4:40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율법을 가르칩니다. 백성이 가나안 땅에서 말씀대로 행하며 살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모세의 말을 들어 보십시오.
“너희는 지켜 (1___)하라. 이것이 여러 민족 앞에서 너희의 (2____)요, 너희의 (3____)이라. 그들이 이 모든 규례를 듣고 이르기를 이 큰 나라 […]

신명기 3장 마지막 2년(바산 왕 옥을 침)을 회고함
신명기 3장 마지막 2년(바산 왕 옥을 침)을 회고함
신 3:25
하나님은 바산 왕 옥의 나라도 멸하라 명하셨습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순종합니다.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와 ‘므낫세 반 지파’가 요단 강 동쪽에 자리를 차지할 것입니다(12-17절). 이렇게 땅을 빼앗을 수 있고 앞으로 또 그렇게 […]

신명기 2장 마지막 2년(헤스본 왕 시혼을 침)을 회고함
신명기 2장 마지막 2년(헤스본 왕 시혼을 침)을 회고함
신 2:9
모세는 마지막 2년 동안의 여정을 회고합니다. 이스라엘에게는 싸우지 말아야 할 민족이 있고 싸워 이겨야 할 민족이 있습니다. 먼저 에서 자손인 에돔과 아브라함의 조카 롯의 자손 모압과 (1____)과는(19절) 싸우지 말라고 하십니다. 아모리 족속 헤스본 […]

신명기 서론 + 신명기 1장
신명기
신명기(申命記)는 가나안 땅에 들어가기 직전 요단 강 동쪽, 모압 평지에서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선포한 일종의 설교입니다. “이는 모세가……이스라엘 무리에게 선포한 말씀이니라.”(1:1) 한글 이름 ‘신명기’는 ‘다시 申’, ‘명할 命’을 써 ‘다시 명령’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영어로는 ‘듀터로노미’(Deuteronomy), 곧 ‘두 번 째’(deutero)와 […]

민수기 36장 슬로브핫의 딸들의 유산과 결혼
민수기 36장 슬로브핫의 딸들의 유산과 결혼
민 36:13
36장은 27장 1-11절과 연결되는 말씀입니다. 슬로브핫의 딸들이 아버지의 이름 때문에 딸들도 땅을 기업으로 유산 받게 되었습니다. 이제는 므낫세 의 손자 마길의 아들 길르앗 자손 종족들의 수령들이 유산을 가진 슬로브핫의 딸들이 다른 지파 남자와 […]

민수기 35장 레위 지파에게 할당된 성과 도피성 제도
민수기 35장 레위 지파에게 할당된 성과 도피성 제도
민 35:33
하나님은 레위 지파를 모든 이스라엘 백성의 장남 숫자만큼 구별하셔서 하나님의 장막과 관련된 일을 맡기십니다. 레위인에게는 따로 땅을 나눠주지 않습니다. 레위인에게는 하나님 당신 자신이 그들의 유산입니다. 땅을 분배 받는 12지파가 레위인을 위해 […]

민수기 34장 약속의 땅 가나안의 지도
민수기 34장 약속의 땅 가나안의 지도
민 34:13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이 가서 살게 될 가나안 땅을 구체적으로 그림처럼 그려주십니다. 동서남북의 경계를 정해 주십니다(3-9절). 이 지역을 아홉 지파와 또 반 지파에게 나눠주라고 하십니다. 이미 두 지파와 반 지파는 요단 강 동쪽에 자리를 잡았기 […]

민수기 33장 모세의 광야 40년 여정
민수기 33장 모세의 광야 40년 여정
민 33:1
모세는 나이 많아 자신의 사역을 정리해야 할 때가 됩니다. 40년의 이집트 생활, 40년 목동 생활, 마지막 40년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한 광야 생활입니다. 하나님이 명령하신 40년의 광야 여행은 행복한 시간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의 불순종과 반역으로 […]

민수기 32장 요단 동편에 거주하려는 르우벤ㆍ갓ㆍ므낫세 반 지파
민수기 32장 요단 동편에 거주하려는 르우벤ㆍ갓ㆍ므낫세 반 지파
민 32:33
가나안 땅 입성을 앞두고 분위기 좋은 때에 문제가 발생합니다. 르우벤 지파와 갓 지파가 요단 강 동편에 머물기 원하고 더 이상 가나안 땅으로 들어가지 않으려 한 것입니다. 이유는 가진 가축이 많기 때문이고 […]

민수기 31장 미디안 족속을 침
민수기 31장 미디안 족속을 침
민 31:2
31장은 25장에서 이미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명령하셨던 것을 실천합니다. “미디안인들을 대적하여 그들을 치라.”(25:17) 미디안 백성이 이스라엘 백성을 유혹해 죄를 짓게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이스라엘 자손의 (1____)”(2절)일 뿐만 아니라 “여호와의 (2____)”(3절)입니다. 각 지파에서 1천 명씩 뽑습니다. […]

민수기 30장 서원에 대한 규례
민수기 30장 서원에 대한 규례
민 30:2
누구나 자신의 소원을 이루기 위해 마음으로 하나님께 서원을 하거나 결심하고 서약하면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사람이 여호와께 (1____)하였거나 결심하고 서약하였으면 깨뜨리지 말고 그가 입으로 말한 대로 다 (2____)할 것이니라.”(2절) 남자나 혹은 과부, 혹은 (3____) 당한 […]

민수기 29장 나팔절ㆍ속죄일ㆍ장막절
민수기 29장 나팔절ㆍ속죄일ㆍ장막절
민 29:1
매 달 첫 날은 거룩한 날(28:11-15)이지만, 특별히 7월은 이스라엘 백성에게는 한 해의 시작이기 때문에 그 달 1일에 (1____)을 크게 불어 ‘나팔절’(1-6절)로 지킵니다. 이 […]

민수기 28장 안식일, 매 일, 매 달과 유월절과 칠칠절
민수기 28장 안식일, 매 일, 매 달과 유월절과 칠칠절
민 28:2
민수기 28-29장은 레위기 23장에 나오는 제사를 반복하면서도 더 상세하게 보충합니다. 특별히 각 명절마다 어떤 제물을 드려야 하는 지 구체적으로 알려줍니다. 먼저 28장 1-8절은 ‘매일’ […]

민수기 27장 슬로브핫의 딸들과 모세의 후계자 여호수아
민수기 27장 슬로브핫의 딸들과 모세의 후계자 여호수아
민 27:18
인구조사 가운데 26장 33절에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헤벨의 아들 슬로브핫은 아들이 없고 (1___)뿐이라. 그 딸의 이름은 말라와 노아와 호글라와 밀가와 디르사”입니다. 므낫세 지파의 슬로브핫의 딸들이 회막 문에서 모세와 제사장, 그리고 지휘관들과 온 […]

민수기 26장 두 번째 인구조사
민수기 26장 두 번째 인구조사
민 26:51
하나님은 두 번째 인구조사를 하도록 명령하십니다. 총 숫자는 (1____)만 천칠백삼십 명입니다(51절). 출발할 때 첫 번째 조사한 숫자 603,550명보다 조금(1,820명) 적습니다. 첫 인구조사는 전열을 세우기 위한 것이지만, 두 번째 인구조사는 가나안 땅의 분배와 관련이 있습니다.
하나님은 인구 조사를 근거로 […]

민수기 25장 바알브올 사건
민수기 25장 바알브올 사건
민 25:3
이스라엘이 모압 평지 (1____)에 머물고 있을 때 브올 산에서 “모압 여자들과 음행”하는 사건이 발생합니다(1절). 이제 가나안 땅에 거의 도착했고 어느 정도 마음을 놓고 있던 때입니다. 모압의 여자는 자신의 신에게 제사할 때에 이스라엘 백성을 초대했습니다(2절). 제사의식에 참여했던 이스라엘 […]

민수기 24장 발람의 이스라엘에 대한 축복(3-4번째)
민수기 24장 발람의 이스라엘에 대한 축복(3-4번째)
민 24:17
발람이 브올 산에서 이스라엘이 진 친 천막을 보는데 전과 같이 점술을 쓰지 않습니다(1절). 오히려 발람은 “하나님의 영”(2절)에 의해 지배를 받습니다. 삼손(삿 14:6, 19)과 사울(삼상 10:6, 10; 19:20, 23)이 그랬던 것처럼 일시적으로 “신에 감동한 […]

민수기 23장 발람의 이스라엘에 대한 축복(1-2번째)
민수기 23장 발람의 이스라엘에 대한 축복(1-2번째)
민 23:23
발락의 극진한 환영과 대접을 받은 발람은 “바알의 산당”(22:41)에 올라 이스라엘의 진을 바라봅니다. 제단에 제물을 바친 후 발람은 발락의 소원대로 이스라엘을 저주하지 않고 ‘하나님이 자신의 입에 주신 말씀’(22:20, 35, 38)만을 말합니다. ‘말하는 나귀’의 기이한 […]

민수기 22장 모압 발락과 점쟁이 발람
민수기 22장 모압 발락과 점쟁이 발람
민 22:41
민수기 22~36장까지는 40년의 광야생활을 마친 이스라엘 백성이 모압 평지에 도착해 경험한 사건들을 기록합니다. 아모리의 시혼 왕과 바산 왕 옥을 물리친 이스라엘은 파죽지세로 북쪽으로 올라갑니다. 이 소식을 들은 모압 왕 발락은 대책을 세웁니다. 발락은 […]

민수기 21장 놋뱀과 가나안 주변 정복
민수기 21장 놋뱀과 가나안 주변 정복
민 21:9
가나안 종족 가운데 아랏의 왕을 이스라엘이 호르마에서 물리칩니다. 하지만 에돔 땅을 둘러 가는 길이 어렵습니다. 백성이 하나님과 모세를 원망합니다. 심지어 하나님께서 주시는 음식인 만나와 메추라기도 “이 (1____)은 음식”(5절)이라고 폄하하며 불평합니다. 매일 먹는 하나님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