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상 16장 다윗은 여호와께 찬양으로 감사하다
역대상 16장 다윗은 여호와께 찬양으로 감사하다
대상 16:1 (시 105:1-15; 96:1-13; 106:47-48)
참 왕이신 하나님 앞에 왕과 제사장과 레위지파 사람들 그리고 온 백성이 함께 기뻐하고 즐거워합니다. 다윗 왕은 (1___) 한 덩이와 야자열매로 만든 (2____)와 건포도로 만든 과자 […]

역대상 15장 언약의 표인 ‘하나님의 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김
역대상 15장 언약의 표인 ‘하나님의 궤’를 예루살렘으로 옮김
대상 15:1 (삼하 6:12-22)
다윗은 다시 ‘하나님의 궤’를 다윗 성으로 옮길 계획입니다. 첫 번째 시도에서 실패한 이유를 다윗이 이렇게 말합니다. “전에는 (1____)가 메지 아니하였으므로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서 우리를 찢으셨으니, 이는 우리가 (2____)대로 그에게 […]

역대상 14장 하나님의 신실한 왕 다윗
역대상 14장 하나님의 신실한 왕 다윗
대상 14:1 (삼하 5:11-25)
다윗은 자신의 왕궁을 건설합니다(1절). 왕권이 든든해집니다. 다윗이 하나님 앞에서 어떻게 살았는지 볼까요? 다윗이 무엇을 하든지 잊지 않고 하는 것이 있습니다. 그것은 언약의 하나님께 묻는 것입니다.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묻고 또 묻습니다(8-16절). “다윗이 하나님께 (1____)……”(10, […]

역대상 13장 하나님의 궤를 옮기려 하나 실패
역대상 13장 하나님의 궤를 옮기려 하나 실패
대상 13:13 (삼하 6:1-11)
다윗은 왕이 된 후 제일 먼저 “(1_____)의 궤”를 다윗 성으로 옮기려 합니다(3절). 다윗에게 우선순위는 하나님을 섬기는 것입니다. 사울 왕 시절 홉니와 […]

역대상 12장 다윗 왕권이 든든히 세워짐
역대상 12장 다윗 왕권이 든든히 세워짐
대상 12:22
다윗이 사울로부터 쫓겨 다닐 때 갓과 (1_____)과 유다 자손 중에서도 다윗에게 모여들었습니다(2-18절). 다윗은 아무 조건 없이 그들을 받지 않습니다(16-18절). 신뢰할 수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성령님이 확신을 주실 때에 그들을 받아들입니다. “그 때에 (2____)이 삼십 […]

역대상 11장 다윗의 왕 됨과 용사들
역대상 11장 다윗의 왕 됨과 용사들
대상 11:9 (삼하 5:1-10; 23:8-39)
다윗이 이스라엘의 왕이 됩니다. 온 이스라엘이 (1_____)에 모여 여호와 앞에 언약을 맺고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의 왕으로 세웁니다(3절). 다윗은 ‘자신의 나라’가 아니라, […]

역대상 10장 사울의 멸망
역대상 10장 사울의 멸망
대상 10:14 (삼상 31:1-13)
10장부터 본격적으로 이스라엘(남 유다) 역사를 기록합니다. 다윗을 통한 하나님의 구원역사를 시작하기 전에 사울의 마지막 장면을 묘사합니다. 사울은 블레셋과의 전쟁에서 아들 셋과 함께 죽습니다. 그렇게 된 이유는 마지막 절에 분명하게 나옵니다. “여호와께 (1____) 아니하였으므로 […]

역대상 9장 바빌론 포로 귀한 후 정착한 사람들 족보
역대상 9장 바빌론 포로 귀한 후 정착한 사람들 족보
대상 9:1 (대상 8:29-38)
아시리아(주전 722)와 바빌론(주전 586)으로 잡혀갔던 북 왕국과 남 왕국 가운데 다시 돌아와 예루살렘에 정착한 지파들은 몇 되지 않습니다. ‘레위’ 사람들과 […]

역대상 8장 베냐민 지파와 사울 집안
역대상 8장 베냐민 지파와 사울 집안
대상 8:1
베냐민 지파에 대해서는 이미 7장 6-12절에서 다루었지만, 8장에서 다시 개별적으로 소개됩니다. 그렇게 족보는 마무리 됩니다. 역대기 족보의 관심은 ‘유다 지파’, ‘레위 지파’와 ‘베냐민 지파’입니다. 베냐민 지파는 […]

역대상 7장 북 왕국 지역: 잇사갈ㆍ베냐민ㆍ납달리ㆍ에브라임ㆍ아셀ㆍ므낫세 반
역대상 7장 북 왕국 지역: 잇사갈ㆍ베냐민ㆍ납달리ㆍ에브라임ㆍ아셀ㆍ므낫세 반
대상 7:1
역대상 7장에는 잇사갈ㆍ베냐민ㆍ납달리ㆍ에브라임ㆍ아셀 지파와 요단 서편에 거주하는 므낫세 반(半 1/2) 지파의 족보를 아주 간단하게 다룹니다. 역대기를 쓸 당시에는 북 왕국 이스라엘은 멸망하고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이들은 멀리 아시리아로 잡혀갔습니다. 서론에서도 기록한 것처럼 단과 스불론 지파는 […]

역대상 6장 레위 지파
역대상 6장 레위 지파
대상 6:1
레위인은 땅을 기업으로 받지 못합니다. 그들의 기업은 하나님이십니다. 다른 지파들이 그들을 먹여 살립니다. 그들이 살아야 했던 집과 땅은 12지파 모두에 골고루 퍼져 있습니다. 레위 지파는 각 지역에 흩어져 […]

역대상 5장 요단 동쪽: 르우벤ㆍ갓ㆍ므낫세 반 지파
역대상 5장 요단 동쪽: 르우벤ㆍ갓ㆍ므낫세 반 지파
대상 5:26
역대상 5장은 요단 강 동쪽 두 지파와 므낫세 반(1/2 半) 지파에 대해 기록합니다.
르우벤은 장자로서 특권을 누리지 못합니다. “……장자라도 그의 아버지의 침상을 더럽혔으므로 (1____)의 명분이 이스라엘의 아들 (2____)의 자손에게로 돌아가서 족보의 장자의 명분대로 […]

역대상 4장 유다와 시므온 지파
역대상 4장 유다와 시므온 지파
대상 4:1
역대상 4장에는 나머지 유다 지파의 이름을 열거합니다. 이 가운데 9-10절에 “야베스”라는 이름이 등장하고 그의 기도가 나타납니다. ‘야베스’라는 […]

역대상 3장 다윗의 족보
역대상 3장 다윗의 족보
대상 3:1
역대상 3장 1-9절은 (1____)의 족보가 나열됩니다. 10-16절에는 르호보암부터 시드기야까지의 남 유다 왕들이 열거됩니다. 북 이스라엘의 왕은 역대기 기자의 관심사가 아닙니다. 구원역사의 족보에서 제외됩니다. 17-24절에는 바빌론 포로 기간과 그 후의 다윗 왕족 이름이 […]

역대상 2장 열 두 지파와 그 대표, 유다 지파
역대상 2장 열 두 지파와 그 대표, 유다 지파
대상 2:1
이스라엘의 열 두 지파의 이름이 나열됩니다. 르우벤, 시므온, 레위, (1____), 잇사갈, 스불론, 단, 요셉, 베냐민, […]

역대상 1장 아담에서 아브라함(이스마엘ㆍ에서ㆍ에돔)까지의 족보
역대상 1장 아담에서 아브라함(이스마엘ㆍ에서ㆍ에돔)까지의 족보
대상 1:1 (창 5:1-32; 10:1-32; 11:10-26; 25:12-16; 36:1-43)
역대기의 특징은 유다 지파 특히 다윗 왕가에 집중적으로 초점이 맞춰진다는 것입니다. 인류 전체를 조망하면서 메시아의 오심을 향하여 점점 클로즈업합니다. 역대기 기자는 “아담, (1___), 에노스, 게난, 마할랄렐……”(1-2절)로 시작해 족보를 […]

역대상 서론
역대상
역대기(歷代記, Chronicles)는 히브리어 ‘디브리 하이밈’(Dibri Haimim), 곧 ‘시대의 사건들’이라는 뜻입니다. 히브리어 성경을 헬라어로 번역한 ‘70인 역’(LXX)은 ‘빠진 사건들’(paraleipomena)이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사무엘서와 열왕기서에 빠진 것을 보충했다’는 뜻입니다. 역대기가 ‘상ㆍ하’로 나뉜 것도 ‘70인 역’부터입니다. 역대기는 사무엘하와 열왕기(상ㆍ하), 곧 남 유다에 관한 기록인데 중복되는 내용이 […]

열왕기하 25장 바빌론의 3차 공격: 예루살렘의 멸망
열왕기하 25장 바빌론의 3차 공격: 예루살렘의 멸망
왕하 25:9 (대하 36:13-21; 렘 40:7-9; 41:1-3; 52:3-34)
바빌론의 제3차 침략이 진행됩니다. 시드기야가 바빌론에 대항했기 때문일 것입니다. 주전 588년에 시작된 예루살렘 공격은 주전 586년까지 2년 동안이나 이어졌습니다(1-2절). 예루살렘 성의 상황은 매우 어렵습니다. 식량이 떨어져 […]

열왕기하 24장 바빌론의 1ㆍ2차 예루살렘 공격
열왕기하 24장 바빌론의 1ㆍ2차 예루살렘 공격
왕하: 24:15 (대하 36:9-12; 렘 52:1-3)
이집트의 속국으로 있던 여호야김 통치 시기에 바빌론 왕 느부갓네살이 유다를 다시 공격하여 속국으로 만듭니다(1절). 이것이 바빌론의 제1차 침략입니다. 바빌론이 정복전쟁을 통해 거대한 나라를 만들기 위해 이집트의 속국이던 유다를 공격한 […]

열왕기하 23장 요시야: 전무후무한 종교개혁
열왕기하 23장 요시야: 전무후무한 종교개혁
왕하 23:25 (대하 34:3-7, 29-33)
요시야 왕은 조상들, 특히 아버지 므낫세가 하나님의 언약을 배반했기 때문에 심판을 면하지 못할 것을 알지만, ‘종교개혁’을 포기하지 않습니다. 그는 유다와 예루살렘의 모든 장로와 백성과 제사장과 선지자를 모아놓고 “성전 안에서 발견한 (1____)책”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