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69편 깊은 수렁과 시련 가운데 외치는 탄원

시편 69편 깊은 수렁과 시련 가운데 외치는 탄원

시 69:17

 

시편 69사람 1명의 이미지일 수 있음-72편(4개)은 시편 제2권의 마무리인데 초반부 42-45편(4개)과 대칭을 이룹니다.

 

시편 69편은 (1____)의 시로서 인도자를 따라 “소산님”에 맞춘 노래(제목)입니다. 소산님은 시편 46편ㆍ60편ㆍ80편에 나오는데 ‘백합’이라는 뜻입니다. 아마도 “소산님에둣”(=언약, 혹은 증거의 백합)의 단축형일 것입니다.

이 시는 다윗 자신이 죄로 인해 겪은 고난에서 시작합니다. “하나님이여, 주는 나의 (2____)함을 아시오니, 나의 (3___)가 주 앞에서 (4____)이 없나이다.”(5절) 거기에 머물지 않습니다. 원수들이 그 기회를 타서 다윗의 고난을 더 악화시킵니다. “무릇 그들이 주께서 (5____) 자를 (6____)하며 주께서 상하게 하신 자의 (7____)을 말하였사오니”(26절) 다윗은 그 고통 속에서 탄원의 기도를 올립니다. “하나님이여! 나를 (8____)하소서. […]

시편 68편 위풍당당 하나님의 승리

시편 68편 위풍당당 하나님의 승리

시 68:1

사진 설명이 없습니다.

이 시는 1-18절과 19-35절로 나뉩니다. 첫째 부분은 과거에 행하셨던 하나님의 위풍당당한 큰 구원의 일을 노래합니다. 곧 ‘모세의 시내 산’에서 ‘다윗의 시온 산’으로 연결됩니다. “땅이 (1____)하며 하늘이 하나님 앞에서 떨어지며 저 (2____) 산도 하나님, 곧 이스라엘의 하나님 앞에서 진동하였나이다.”(8절) “주께서 (3____) 곳으로 오르시며……”(18절) “높은 곳”은 시온 산을 의미합니다. 둘째 부분은 하나님의 구원이 이스라엘에서 모든 나라를 향하고 있음을 노래합니다. “예루살렘에 있는 주의 (4___)을 위하여 왕들이 주께 (5____)을 드리리이다.”(29절) 이방의 왕들과 고관들이 하나님을 향할 것임을 노래합니다. “고관들은 (6____)에서 나오고 (7____)인은 하나님을 향하여 그 (8___)을 신속히 들리로다.”(31절) 이방인의 구원을 예언합니다.

바울은 “주께서 […]

시편 67편 복을 받은 공동체의 찬송

시편 67편 복을 받은 공동체의 찬송

시 67:1

111.jpg

이 시의 핵심은 3절과 5절의 후렴구에 있습니다. “하나님이여! (1____)들이 주를 찬송하게 하시며 (2____) 민족들이 주를 (3____)하게 하소서.”(3, 5절) 이 시는 추수 후 오순절에 불렸을 것으로 봅니다. “(4___)이 그의 (5____)을 내어 주었으니 하나님 곧 우리 하나님이 우리에게 (6___)을 주시리로다.”(6절) 이스라엘 백성이 하나님으로부터 받는 복은 단순히 자신들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결국 모든 민족을 향한 것임을 보여줍니다. 이 시는 공동체적 관심의 표현입니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7____)를 베푸사 복을 주시고 그의 (8____) 빛을 우리에게 비추사. 셀라! 주의 (9___)를 땅 위에, 주의 (10____)을 모든 (11____)에게 알리소서.”(1-2절)

 

답: 1. 민족, 2. 모든, 3. 찬송, 4. 땅, 5. 소산, […]

시편 66편 하나님의 엄위와 구원, 그리고 성도의 예배와 감사

시편 66편 하나님의 엄위와 구원, 그리고 성도의 예배와 감사

시 66:10

시 66-67편에는 51편부터 계속된 “다윗의 시”라는 표현이 제목에 등장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다윗의 ‘구원’에 관한 시입니다.

시 66편 1-4절은 온 땅이 하나님을 찬양할 것을 권고합니다. 5-7절은 과거 하나님의 구원이 얼마나 큰 지 보고합니다. 8-12절은 이스라엘을 단련하려고 위기 가운데 두었음을 알립니다. “하나님이여, 주께서 우리를 (1____)하시되 우리를 (2____)하시기를 (3___)을 단련함 같이 하셨으며”(10절) 13-15절은 하나님의 구원에 감사하는 제사를 드리게 됨을 표현합니다. “내가 (4_____)을 가지고 주의 집에 들어가서 나의 (5____)을 주께 갚으리니”(13절) 16-20절은 하나님이 성도의 기도에 어떻게 응답하는 지에 대해 고백합니다. “하나님을 (6____)하리로다. 그가 내 (7____)를 물리치지 아니하시고 그의 […]

시편 65편 영육의 복에 대한 감사의 찬송

시편 65편 영육의 복에 대한 감사의 찬송

시 65:1

책, 늙은, 구름, 나무, 조류, 은행, 러쉬, 경치, 사용 하는, 오래 된 책, 읽기, 골동품

시편 65-68편은 네 개의 묶음 ‘찬양 시’입니다. 하나님의 엄위한 행동은 모든 땅 끝과 온 땅을 움직여 이스라엘과 함께 하나님을 찬양하게 된다는 내용입니다. 찬양의 이유는 첫째, 하나님의 ‘작정의 실행’, 곧 ‘창조와 섭리’(65편과 67편) 때문이며, 마지막으로 ‘구원’(66편과 68편) 때문입니다.

 

시편 65편에 표현된 핵심은 하나님께 대한 무한한 감사입니다. “하나님이여! (1____)이 시온에서 주를 기다리오며 사람이 (2____)을 주께 이행하리이다.”(1절) 이 시의 내용을 보면 시인이 죄로 인해 가뭄을 심하게 겼었습니다. 그런데 하나님이 그 죄를 용서해 주십니다. “죄악이 나를 이겼사오니, 우리의 […]

시편 64편 악한 말의 공격으로부터 지켜 주시는 하나님

시편 64편 악한 말의 공격으로부터 지켜 주시는 하나님

시 64:1

칼, 혈액, 배경, 중세, 이미지 조작, 포토샵, Alex, 전사, 싸움, 전투

시편 64편은 62편의 상황과 매우 비슷합니다. 시인의 주변에는 수많은 악한 자들이 있습니다. 그들은 시인을 포함한 소수의 경건한 자들을 위협합니다. “하나님이여! 내가 (1____)하는 소리를 들으시고 원수의 (2_____)에서 나의 (3____)을 보존하소서.”(1절)

시인은 1-6절에서 악인들이 얼마나 악한 행동을 하는지 구체적으로 표현합니다. “그들이 칼 같이 자기 (4___)를 연마하며 화살 같이 독한 (5___)로 겨누고”(3절) 예나 지금이나 사람의 혀는 칼처럼 사람의 마음을 찌르고 입의 말은 화살처럼 심장을 꽤 뚫습니다. 남몰래 꽤하는 그들의 “묘책”은 심오합니다(5-6절).

7-10절에서는 하나님이 악인에게 공의를 행하시며 마음이 정직한 자는 하나님을 자랑하게 […]

시편 63편 생명보다 나은 주의 인자를 바라봄

시편 63편 생명보다 나은 주의 인자를 바라봄

시 63:3

시인 다윗은 원수들의 공격으로 어려움에 처한 상황 가운데 하나님의 “권능”(2절)과 “인자”(3절)가 유일한 “도움”(7절)이고 “날개 그늘”(7절)에 의지함이 “즐거움”이고 “자랑 거리”임을 고백(11절)합니다.

62편이 듣는 것에 관한 시라면, 63편은 보는 것(2절)에 관한 시입니다. “내가 주의 권능과 영광을 (1____) 위하여 이와 같이 성소에서 주를 (2____)보았나이다.”(2절)

이 시는 다윗이 “유다 광야”에 있을 때와 관련이 있습니다(삼하 15:23-28, 16:2, 14, 17:16, 29). 비참한 상황 가운데 시인은 하나님의 사랑과 보살핌이 자신의 생명보다 귀하기에 오직 하나님만을 평생 노래하며 높일 것이라고 고백합니다. “주의 (3____)하심이 (4____)보다 나으므로 내 (5____)이 주를 찬양할 것이다. 이러므로 나의 평생에 주를 (6____)하며 주의 […]

시편 62편 잠잠히 하나님의 말씀을 들음

시편 62편 잠잠히 하나님의 말씀을 들음

시 62:1

 

제목 “여두둔”에 대해서는 39편의 설명을 참고하십시오. 이처럼 분명하게 하나님에 대한 믿음을 표현한 시가 있을까요! 이 시는 “잠잠히”(1, 5절) 하나님을 갈망하면서 “말씀”(11절)을 듣는 것에 집중합니다. 1-2절은 ‘적의 공격에 대한 나와 하나님과의 관계’를 표현합니다. “나의 영혼이 (1____)히 하나님만 (2____)이여! 나의 (3____)이 그에게서 나오는도다. 오직 (4___)만이 나의 (5____)이시요, 나의 (6____)이시요, 나의 (7____)이시니, 내가 크게 흔들리지 아니하리로다.”(1-2절) 3-4절은 공격하는 원수에 대한 말입니다. 5-7절은 다시 ‘나와 하나님과의 관계’로 돌아옵니다. “나의 영혼아! 잠잠히 (8_____)만 바라라. 무릇 나의 (9____)이 그로부터 나오는도다. 오직 그만이 나의 반석이시요, 나의 구원이시요, 나의 요새이시니, 내가 (10____)리지 아니하리로다. 나의 […]

시편 61편 환난 중에 있는 성도 개인의 탄원

시편 61편 환난 중에 있는 성도 개인의 탄원

시 61:3

사진 설명이 없습니다.

시편 61-64편은 큰 위기 가운데 있는 성도가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강한 믿음을 노래하는 묶음 시입니다. 61편은 다윗이 압살롬의 반역을 피해 예루살렘을 버리고 도망한 때(삼하 17:21-29)에 지은 시입니다. 예루살렘 성을 사모하는 표현들, 곧 “높은 바위”(2절), “나의 피난처”(3절), “견고한 망대”(3절), “주의 장막”(4절), “주의 날개”(4절) 등이 등장합니다.

6-7절은 왕의 장수를 구하는 기도인데 3인칭, “그의 나이”(6절), “그가”(7절)의 표현으로 볼 때 메시아에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다윗의 위대한 자손 예수 그리스도에게서 이 말씀은 성취됩니다. “주께서 (1___)에게 장수하게 하사, 그의 (2___)가 여러 (3___)에 미치게 하시리이다. 그가 (4____)히 하나님 앞에서 거주하리니, 인자와 진리를 […]

시편 60편 쫓겨난 백성의 국가적 탄원

시편 60편 쫓겨난 백성의 국가적 탄원

시 60:1

사람 1명의 이미지일 수 있음

이 시는 하나님의 도움을 기도하는 국가적 탄원입니다. “하나님이여! 주께서 우리를 (1____) 흩으셨고 분노하셨사오나, 지금은 우리를 (2____)시키소서.”(1절) 60편의 제목은 “다윗이 아람 나하라임과 아람소바와 싸우는 중에 요압이 돌아와 에돔을 (3____) 골짜기에서 쳐서 만 이천 명을 죽인 때”인데 사무엘하 8:1-14절이 그 배경입니다. 그런데 죽인 숫자가 12,000명이 아니라, 18,000명(삼하 8:13)으로 차이가 납니다. 전쟁에서 숫자를 센 시점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후대에 이스라엘 백성은 전쟁에 나갈 때 이 시편을 힘차게 불렀다고 합니다.

1-3절은 하나님의 진노에 대한 것이지만, 10-12절에서는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확신을 노래합니다. “우리를 (4____) 대적을 치게 하소서. (5____)의 구원은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