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49편 헛된 인생

시편 49편 헛된 인생

시 49:20

사람 5명의 이미지일 수 있음

다섯 개의 묶음 ‘49-53편’은 ‘46-48편’에서 하나님의 성 예루살렘을 노래한 것과 연결됩니다. 자기의 재물과 부를 자랑하지 않고 오직 여호와를 의지하는 사람만이 우리 하나님의 안전한 성 예루살렘에 살면서 노래하며 찬양할 수 있음을 고백합니다. 49편은 특별히 자기의 (1____)을 의지하고 (2____)함을 자랑하는 자의 어리석음(6절)을 지적합니다. 동시에 인간의 참된 지혜를 노래합니다. 세상 사람은 지금도 ‘재물과 부’를 의지하고 믿습니다. 그런 것 같아 보입니다. 돈이면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 신자도 그런 자의 번성 때문에 시험에 들기도 합니다. 그러나 그런 자들 때문에 근심하고 두려워 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들의 마지막은 멸망이기 때문입니다. 어리석은 자는 자신의 […]

시편 48편 위대한 왕이신 하나님

시편 48편 위대한 왕이신 하나님

시 48:1

사진 설명이 없습니다.

이 시는 예루살렘을 공격하려다가 혼비백산 도망가고 말았던 산헤립의 공격으로부터 벗어난 시점에 지은 것이 아닌가 합니다(사 37:35-37). 시인은 예루살렘이 너무 좋습니다. 하나님이 정하고 보호하고 지키는 성입니다. 예루살렘을 방문하는 순례자들이 이 시를 즐겨 불렀을 것입니다. 이 시는 순례자의 노래인 시편 120-134편의 분위기와 맞습니다. “여호와는 위대하시니 우리 (1_____)의 성, 거룩한 산에서 극진히 (2____) 받으시리로다. 터가 높고 아름다워 온 (3____)가 즐거워함이여! (4___) 왕의 성, 곧 북방에 있는 (5____) 산이 그러하도다.”(1-2절) 예루살렘 성이 아름다운 이유는 하나님 때문입니다. 예루살렘에 거하는 하나님은 ‘인자’하고, ‘정의’가 충만하고, ‘심판’하는 분입니다. “인자”(9절, 6:4)는 어렵고 힘들 때 의지할 수 있는 끝없는 […]

시편 47편 큰 왕이신 하나님

시편 47편 큰 왕이신 하나님

시 47:2

예수의 승천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 시는 전쟁에서 승리를 거둔 후 불렀던 찬양으로 보입니다. “여호와께서 만민을 (1____)에게, 나라들을 우리 발 아래 (2____)하게 하시며”(3절) 너무나 기뻐 (3_____)을 치고 즐거운 (4____)로 하나님께 외치라고 합니다(1절). 더 나아가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왕 뿐만 아니라, 온 세상의 왕 됨을 노래합니다. “하나님은 온 땅의 (5___)이심이라.”(7절)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시편 47편은 회당에서 ‘신년 축제일’에 부르는 관습이 생겼다고 합니다. 신약시대에 와서는 그리스도의 ‘승천일’에 즐겨 불렀습니다. 그것은 5절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즐거운 함성 중에 (6_____)심이여, 여호와께서 (7____) 소리 중에 올라가시도다.”(5절)

이런 위대하신 왕 하나님을 향한 기쁨의 찬송이 넘쳐납니다. “(8____)하라. 하나님을 […]

시편 46편 피난처 하나님

시편 46편 피난처 하나님

시 46:1

Rock of Cashel - Wikipedia

시편 제2권(42-72편)의 서론격인 42-45편에 이어지는 46-48편은 세상에서 겪게 되는 온갖 환난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백성은 안전하다는 확신을 노래합니다. 46편과 48편은 하나님의 성 ‘예루살렘의 안전’과 47편은 그곳에서 ‘통치하시는 위대한 왕’에 관한 노래입니다. 이 시는 종교 개혁가 마틴 루터가 지은 찬송 시, “내 주는 강한 성이요”(585장)에 영향을 줍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1_____)시요, (2___)이시니, 환난 중에 만날 큰 (3____)이시라.”(1절) “피난처”는 “산성”(7, 11절)으로도 번역이 가능합니다.

 

예루살렘에는 이방 나라 수도들과 달리 “한 (4____)”(4절)가 없습니다. 산 악 지대이기 때문입니다. 이 표현은 은유입니다. “시내”는 하나님의 복이 한 없이 흘러내리는 것을 상징합니다. 성전은 하나님이 함께 하기에 안전합니다(5절). […]

시편 45편 왕의 혼인식 노래

시편 45편 왕의 혼인식 노래

시 45:17

사람 2명의 이미지일 수 있음

이 시는 ‘왕의 혼인식’에서 왕을 찬양하는 노래로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신부는 외국의 공주였을 것(10, 12절)이고, 국제적 중요성을 지닌 신부와 결혼하는 다윗 왕가의 위엄을 보여줍니다(3-5절). 10절의 “딸”은 왕의 신부를 의미합니다. 이 시의 왕은 다윗 왕가에 속함으로서 왕으로 오실 그리스도를 예표합니다. 특별히 6-7절은 히브리서 1장 8-9절에서 메시아로 인용됩니다. “왕은 (1____)를 사랑하고 (2___)을 미워하시니 그러므로 하나님, 곧 왕의 하나님이 즐거움의 (3____)을 왕에게 부어 왕의 (4____)보다 뛰어나게 하셨나이다.”(7절)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 가운데 임재하기 위한 장소로 ‘예루살렘 성전’을 주었습니다. 동시에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다윗 왕과 그의 자손을 통해 다스립니다. 다윗 왕조는 하나님의 직분자, […]

시편 44편 왕이신 우리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버리지 않으셔!

시편 44편 왕이신 우리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버리지 않으셔!

시 44:3사진 설명이 없습니다.

이 시는 개인보다 국가 입장에서 쓴 것으로 보입니다. ‘나’라는 주어가 나오지만, ‘우리’라는 주어가 대부분입니다. 이 시가 이스라엘 역사 가운데 어느 시점에 관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있습니다. 바빌론 포로 이후 초기에 쓴 것으로 보기도 하지만, 시인이 자신의 죄에 대해 침묵하고 있고 오히려 언약을 어기지 않았다고 강변하는 것을 보면 적절하지 않아 보입니다. 17-22절을 읽어보면 언약에 충실하지 못함으로 당한 심판의 상황은 아닙니다. 그렇다면 아마도 남 유다의 여호사밧이나 히스기야의 통치 시절(종교개혁)의 어떤 경험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별히 1절은 하나님이 조상들에게 행한 일이 어떻게 전달되었는지에 대해 잘 […]

시편 43편 낙심 속에서 하나님을 갈망함(2)

시편 43편 낙심 속에서 하나님을 갈망함(2)

시 43:5

이미지: 실외

본래 이 시는 42편과 하나의 시였습니다. 43편에 제목이 없고 42편과 같은 후렴(6절)이 반복되는 것에서 알 수 있습니다. 시인은 사람들로부터 박해받고 하나님으로부터 버림받고 있다고 느낍니다(2절). 그래서 기도합니다. “하나님이여, 나를 (1____)하시되 경건하지 아니한 나라에 대하여 내 (2____)를 변호하시고 간사하고 (3____)한 자에게서 나를 (4____)소서.”(1절) “나라”는 ‘백성’을 의미합니다. 시인은 “주의 거룩한 산”, 곧 “주께서 계시는 곳”(3절)에 이르러 제단에서 예배합니다. “하나님이여, 나의 (5_____)이여, 내가 (6____)으로 주를 (7____)하리이다.”(4절)

성도는 낙심하거나 불안해하지 말고 도우시는 하나님께 소망을 두어야 합니다. 이 시에는 고난 가운데 있는 성도의 마음이 잘 표현되어 있습니다.

 

답: 1. 판단, 2. 송사, 3. 불의, 4. 건지, 5. […]

시편 42편 낙심 속에서 하나님을 갈망함(1)

시편 42편 낙심 속에서 하나님을 갈망함(1)

시 42:11

사진 설명이 없습니다.

시편 42편은 제2권(42-72편)의 첫 번째 시입니다. 42-43편은 하나의 시로 보입니다. 후렴구가 같기 때문입니다. “내 영혼아 네가 어찌하여 (1____)하며 어찌하여 내 속에서 (2____)해 하는가? 너는 하나님께 (3____)을 두라. 그가 나타나 도우심으로 말미암아 내가 여전히 (4____)하리로다.”(42:5, 11, 43:5) 더구나 ‘원수의 압제와 억압’(42:9, 43:2)으로부터 구원과 성전에서 하나님의 임재가 다시 회복될 것을 간구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주전 4세기 히브리어 성경을 그리스어로 번역한 70인 역(LXX Septuagint) 성경이 42-43편(두 개)으로 나누면서 지금까지 두 개의 시로 전해내려 옵니다.

 

시인은 고난 가운데 예루살렘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성전 제사를 그리워하며 쓴 시로 보입니다. “주의 (5____) 소리에 깊은 바다가 서로 […]

시편 41편 회복자의 감사 찬송

시편 41편 회복자의 감사 찬송

시 41:13

시편 41편은 40편과 하나를 이루며 시편 제1권으로 마무리됩니다. 복 있는 사람(1:1)으로 시작해 복 있는 자(41:2)로 끝납니다.

시인은 자신의 질병과 죄가 관련 있음을 고백합니다. “내가 주께 (1____)하였사오니, 나를 고치소서.”(4절) 하나님에게 은혜를 구합니다. 견디기 힘든 것은 주변에 있는 원수들입니다. 그들은 질병으로 고생하는 시인을 향해 “악담”(5절)을 하며 죽기를 바랍니다. “거짓”(6절)을 말하며 ‘수군거리고 시인을 해하려고 꾀’(7절)합니다. 원수들은 시인이 죽을 것을 바랍니다(8절). “내가 (2____)하여 내 (3___)을 나눠먹던 나의 가까운 (4____)도 나를 대적하여 그의 (5_____)를 들었나이다.”(9절) 서로 믿고 지내던 가장 가까운 친구까지도 배신합니다. ‘발꿈치를 들다’는 어떤 사람을 넘어뜨리기 위해 수작을 거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수님은 시편 41편 9절을 인용하며 예수님을 […]

시편 40편 실망스런 삶에서 감사

시편 40편 실망스런 삶에서 감사

시 40:12

이미지: 사람 1명 이상, 서 있는 사람들, 어린이, 실외

시편은 전체 5권의 묶음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1권은 1-41편까지입니다. 제1권은 처음 1-2편으로 시작하고 마지막 40-41편으로 마칩니다. 공통으로 등장하는 표현이 “……한 자는 복이 있다”(2:12; 40:4)입니다. 공통점이 돋보입니다. 복이 있는 자는 다음과 같은 자입니다.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는 자”(1:1)와 “여호와께 피하는 자”(2:12), 그리고 “여호와를 (1____)하고 교만한 자와 거짓에 치우치는 자를 (2____)보지 아니하는 자”(40:4)와 “가난한 자를 보살피는 자”(41:1)들이 복 있는 자입니다.

 

이 시는 1-5절, 6-10절, 11-17절 이렇게 세 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첫째 연은 하나님이 시인에게 과거에 보여주었던 구원의 은혜를 노래합니다. 둘째 연은 어떻게 그 하나님에게 감사할 것인지에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