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다우리교회

이 저자는 아직 상세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So far 다우리교회 has created 1512 blog entries.

이사야 37장 아시리아의 예루살렘 공격과 히스기야(2)

이사야 37장 아시리아의 예루살렘 공격과 히스기야(2)

사 37:1 (왕하 19:1-37)

 

히스기야 왕은 옷을 찢고 굵은 베옷을 입고 여호와의 전으로 갑니다(1절). 동시에 이사야 선지자에게 기도를 요청합니다(4절). 하나님의 말씀이 이사야를 통해 히스기야에게 임합니다. “너희가 들은 바 앗수르 왕의 종들이 나를 (1____)한 말로 말미암아 (2_____)하지 말라.”(6절) 하나님은 놀라운 일을 계획하고 계십니다. “보라, 내가 (3___)을 그의 속에 두리니, 그가 소문을 듣고 그의 고국으로 돌아갈 것이며 또 내가 그를 그의 고국에서 칼에 죽게 하리라, 하셨느니라, 하니라.”(7절)

이집트 남동쪽에 위치한 구스 왕 디르하가(Tirhakah)가 전쟁에 개입했다는 소식을 들은 아시리아는 일단 후퇴합니다. 그렇지만 예루살렘 공격을 포기한 것은 아닙니다. 산헤립(Sennacherib)이 히스기야 왕과 백성에게 편지를 보내 심리전을 펼칩니다. 하나님을 모욕합니다. 히스기야 왕은 일일이 […]

이사야 36장 아시리아의 예루살렘 공격과 히스기야(1)

이사야 36장 아시리아의 예루살렘 공격과 히스기야(1)

사 36:2 (왕하 18:13-27; 대하 32:1-29)

 

이사야 36-39장의 역사적 배경은 열왕기하 18장 23절~20장 19절입니다. 이 부분은 이사야의 전반부(1-35장)와 후반부(40-66장)를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합니다.

 

히스기야 왕이 남 유다를 다스린 지 14년이 되던 해, 아시리아의 왕 산헤립이 공격합니다. 아시리아는 이스라엘 북 왕국을 멸한 후 또 남 왕국을 지속적으로 괴롭힙니다. 한 때 하나님의 심판의 도구로 사용되기도 했던 아시리아이긴 합니다. 하지만, 아시리아는 교만의 극치를 달립니다. 아시리아 왕 산헤립을 보십시오. 하나님을 모욕하고 하나님의 백성을 우습게봅니다. 물론 유다의 죄가 근본 문제입니다. 유다는 하나님보다 이집트를 의지합니다. 그런 유다의 죄는 하나님이 지적할 것이지, 산헤립의 입에서 나올 것은 아닙니다. 더 나아가 산헤립은 거짓말까지 합니다. “내가 이제 […]

이사야 35장 하나님의 구원을 통한 통치와 다스림

이사야 35장 하나님의 구원을 통한 통치와 다스림

사 35:8

 

이사야 34장이 심판하는 하나님에 관한 것이고, 35장은 구원하는 하나님에 관한 것입니다. 이 구원도 비유와 은유로 표현됩니다. “광야에 메마른 땅이 (1____)하며, 사막이 백합화 같이 피어 (2_____)하며, 무성하게 피어 (3____) 노래로 즐거워하며, 레바논의 영광과 갈멜과 사론의 (4_____)을 얻을 것이라. 그것들이 여호와의 (5____) 곧 우리 하나님의 아름다움을 보리로다.”(1-2절) 하나님은 자기 백성이 죄를 매로 징계하지만, 회개하는 백성을 구원하며 원수를 보복하며 억울함을 갚아 줍니다.

“그 때”(5절)에 구속함을 받은 자들이 하나님이 있는 시온에게 돌아오게 될 것입니다. 슬픔과 탄식이 사라지고 기쁨과 즐거움을 얻게 될 것입니다(10절). 이 예언은 우선 바빌론 포로에서 돌아옴으로 이루어지고 최종 성취는 예수 그리스도의 초림으로 시작(눅 4:16-21, 7:18-23)되고 재림으로 […]

이사야 34장 하나님의 심판을 통한 통치와 다스림

이사야 34장 하나님의 심판을 통한 통치와 다스림

사 34:8

 

하나님의 통치는 언약백성뿐만 아니라 온 우주를 포함합니다. 이 다스림은 ‘심판과 구원’으로 나타납니다. 이사야 34장은 ‘심판의 하나님’을, 35장은 ‘구원의 하나님’을 보여줍니다. 좀 더 설명하면 28-33장까지 이어진 이스라엘의 남북 왕조에 대한 심판과 구원의 결론에 해당합니다. 마치 이사야 24-27장이 13-23장의 결론인 것과 같습니다.

 

세상을 향한 선포를 들어보십시오. “(1____)이여, 너희는 나아와 들을지어다. (2____)들이여, 귀를 기울일지어다. 땅과 땅에 충만한 것, 세계와 세계에서 나는 모든 것이여, 들을지어다. 대저 여호와께서 (3____)을 향하여 (4____)하시며, 그들의 만군을 향하여 분내사 그들을 진멸하시며, 살육 당하게 하셨은즉”(1-2절)

 

하나님의 심판은 갑자기 된 것이 아닙니다. 선지자들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경고하신 결과 심판이 임한 것(3-15절)입니다. 심판의 심각성이 비유로 잘 표현됩니다. “너희는 […]

이사야 33장 언약백성에게 베푸시는 하나님의 복

이사야 33장 언약백성에게 베푸시는 하나님의 복

사 33:6

 

이사야는 당시 떠오르는 강국 아시리아의 멸망을 예언합니다. “너, 학대를 당하지 아니하고도 학대를 하며, 속이고도 속임을 당하지 아니하는 자여! (1___) 있을진저!”(1절) 하나님은 아시리아를 통해 유다를 징계하지만 다시 구원하십니다. 언약백성은 벌주고 이방나라(아시리아)는 그냥 놔두실까요? 벌은 자식에게만 줍니다. 심판은 언약 밖에 있는 나라에게로 향합니다. “주께서 (2____)나심으로 말미암아 나라들이 (3____)졌나이다.”(3절)

 

이사야 선지자는 하나님에 대해 고백합니다. 하나님은 당신의 백성을 구체적으로 다스리는데 나라의 모든 영역(재판ㆍ법ㆍ안녕)을 총괄합니다. “대저 여호와는 우리 (4_____)이시오, 여호와는 우리에게 (5____)을 세우신 이요, 여호와는 우리의 (6___)이시니 그가 우리를 구원하실 것임이라.”(22절) 하나님의 가장 큰 은혜는 “백성이 (7____)함”(24절)을 받는 것입니다. 놀랍게도 우리도 그 큰 은혜를 받았습니다. 하나님은 예나 지금이나 동일하십니다. 죄를 […]

이사야 32장 삼위일체 하나님의 징계와 구원

이사야 32장 삼위일체 하나님의 징계와 구원

사 32:1

 

성부 하나님은 본질상 진노의 자녀인 이스라엘 백성을 택하고 죄 가운데서 돌이키게 하려고 징계합니다. 징계는 멸망이 아니라, 회복이 목적입니다. 하나님의 구원 계획은 위대합니다. 그 장소와 방법과 시기를 예측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지금 우리는 그것을 압니다. 예수 그리스도! 바로 그 분 안에 모든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가 집약되어 있습니다. 이사야를 통해 그려진 메시아에 관한 예언을 들어보십시오!

“보라! 장차 한 (1___)이 공의로 통치할 것이요, 방백들이 정의로 다스릴 것이며, 또 그 사람은 광풍을 피하는 곳, 폭우를 가리는 곳 같을 것이며, 마른 땅에 (2____) 같을 것이며, 곤비한 땅에 큰 (3____) 그늘 같으리니, 보는 자의 눈이 감기지 아니할 것이요, 듣는 자가 귀를 […]

이사야 31장 이집트를 의지하는 유다의 어리석음과 하나님의 구원

이사야 31장 이집트를 의지하는 유다의 어리석음과 하나님의 구원

사 31:3

 

남 유다가 믿고 의지한 나라는 이집트입니다. 이집트에 도움을 청한 것은 후대의 역사가도 지혜로웠다고 평가할 합리적 판단입니다. 유다는 약자이고 이집트는 그 시대의 초강대국이기 때문입니다. 이집트는 최신예 무기인 ‘말과 병거와 마병’을 많이 갖추고 있습니다.

세상 나라는 하나님이 없으니, 자신의 미래를 스스로 해결해야 합니다. 신이 자기 자신이기 때문에 자기 안전은 자기가 해결해야 합니다. 스스로 부국강병 해야 합니다.

그러나 남 유다는 이집트와 다릅니다. 남 유다는 하나님의 소유입니다. 하나님이 왕이니 그분이 돌봅니다. 그들은 온 우주의 창조주 하나님의 백성이며,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자녀들이기 때문에 그 분께 도움을 구해야 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하나님에게 부탁하지 않습니다. 언약의 하나님에 대한 믿음이 […]

이사야 30장 남 유다의 불신앙과 하나님의 구원

이사야 30장 남 유다의 불신앙과 하나님의 구원

사 30:1

 

이사야는 구체적으로 당대 남 유다의 죄를 지적합니다. 북 쪽에서 내려온 아시리아의 침략은 가나안 땅 전체를 집어 삼킬 기세입니다. 이미 북 왕국 이스라엘을 멸망시켰으니 남 유다는 금방이라도 정복당할 위험에 처합니다. 남 유다는 하나님에게 자신들의 죄를 회개하고 도움을 구해야 하지만, 고집이 셉니다. 그들의 모습은 “(1____)한 자식들”(1, 9절)이고 “(2____)말하는 자식들이요 여호와의 (3___)을 듣기 싫어하는 자식들”(9절)입니다. “패역한”이라는 말은 ‘반란을 일으킨’(rebellious)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은혜를 베푼 왕을 공격하고 대적하는 백성을 의미합니다. 그들은 강대국 이집트(“라합” 7절; 시 87:4; 89:10)를 의지하고 그 힘을 요청합니다. 불신앙은 불안을 낳고 그 불안은 세상 힘을 의지합니다.

 

이사야는 이집트의 힘을 의지하지 말고 하나님을 의지할 것을 권고합니다. 하나님이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