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다우리교회

이 저자는 아직 상세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So far 다우리교회 has created 1512 blog entries.

이사야 47장 바빌론의 교만과 멸망

이사야 47장 바빌론의 교만과 멸망

사 47:10

 

이사야 46장까지는 시온, 곧 예루살렘(남 유다)의 구원을 예언했지만, 47장은 바빌론의 멸망을 예고합니다. “처녀 딸 (1_____)이여! 내려와서 티끌에 앉으라. 딸 갈대아여! (2____)가 없어졌으니 (3___)에 앉으라. 네가 다시는 곱고 아리땁다 일컬음을 받지 못할 것임이라.”(1절) 세상의 생사화복(生死禍福)은 하나님의 손에 달려 있습니다. 하나님은 불신자를 한 동안 높은 곳에 앉게도 하지만, 땅으로 끌어내리기도 합니다. 세상의 주인은 하나님입니다. “내가 보복하되”에서 1인칭은 바로 하나님입니다. 선지자 이사야가 하나님의 이름으로 대언합니다. 그렇지만 동시에 이사야 선지자는 1인칭 복수 “우리”를 사용해 하나님을 고백합니다. “(4____)의 구원자는 그의 이름이 (5____)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거룩한 이시니라.”(4절)

 

바빌론의 죄는 무엇일까요? 하나님이 바빌론에게 이스라엘 백성을 벌 주기 위해 치도록 허락했지만 바빌론은 이스라엘에게 아무런 […]

이사야 46장 우상과 살아계시고 참되신 하나님

이사야 46장 우상과 살아계시고 참되신 하나님

사 46:9

 

“벨”(Bel)은 바빌론의 신, 마르둑(Marduk)의 다른 이름이며 가나안의 신 ‘바알’(Baal)과 같고 ‘주인’이라는 의미입니다. “느보”(Nebo)는 마르둑의 아들인데 학문과 저술의 신 나부(Nabu)입니다. 바빌론이 섬기는 신들은 모두 하나같이 인간이 만든(偶) 어리석은(愚) 형상(우상, 愚象)에 불과합니다.

그에 비해 이스라엘의 하나님은 살아있고 참됩니다.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낳고 보살피며 돌봅니다. “야곱의 집이여! 이스라엘 집에 (1____) 모든 자여! 내게 들을지어다. 배에서 태어남으로부터 내게 안겼고 태에서 남으로부터 내게 (2____) 너희여! 너희가 노년에 이르기까지 내가 그리하겠고 백발이 되기까지 내가 너희를 (3___)을 것이라. 내가 지었은즉 내가 업을 것이요, 내가 품고 구하여 내리라.”(3-4절) 창조주 하나님은 언약백성을 부모처럼 보호합니다.

 

그 하나님에 대해서는 과거의 옛적 일을 기억하면 알 수 있습니다. “너희는 […]

이사야 45장 나는 여호와라. 나 외에는 다른 이가 없으니라

이사야 45장 나는 여호와라. 나 외에는 다른 이가 없으니라

사 45:1

 

성경은 페르시아 왕 고레스를 “기름 부음을 받은”(1절) 자(The anointed 메시아)로 묘사합니다. 하나님의 특별한 임무를 이루기 위해 쓰는 종이라는 의미입니다. 고레스는 남 유다를 예루살렘으로 다시 돌려보냅니다. 하나님은 온 세상의 주인입니다. 하나님은 창조주입니다. 어느 누구도 하나님의 일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노하거나 불만할 수 없습니다. 이사야 선지자는 토기장이와 질그릇, 그리고 부모와 자녀의 관계로 설명합니다. “질그릇 조각 중 한 조각 같은 자가 자기를 지으신 이와 더불어 다툴진대, 화 있을진저, (1____)이 토기장이에게 너는 무엇을 만드느냐, 또는 네가 만든 것이 그는 (2___)이 없다 말할 수 있겠느냐, 아버지에게는 무엇을 낳았소, 하고 묻고 어머니에게는 무엇을 낳으려고 해산의 (3____)를 하였소, 하고 […]

이사야 44장 거짓으로 가득한 이스라엘과 구원자 하나님

이사야 44장 거짓으로 가득한 이스라엘과 구원자 하나님

사 44:2

 

하나님은 이스라엘에게 ‘왕’이요 ‘구원자’이며 다른 신이 없음을 친절히 설명합니다. “나의 종 야곱, 내가 택한 이스라엘아! 이제 들으라. 너를 만들고 너를 (1____)에서부터 지어 낸 너를 도와 줄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나의 종 (2____), 내가 택한 여수룬아! 두려워하지 말라.”(1-2절) “여수룬”(2절)이라는 이름은 ‘의인’이라는 뜻입니다. 반대로 “야곱”은 ‘거짓말쟁이’라는 뜻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본질상 진노의 자녀입니다. 거짓말뿐만 아니라, 온갖 죄를 짓는 죄인입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죄를 용서하고 ‘의인’(여수룬)이라 부릅니다. 루터의 ‘죄인이면서 동시에 의인’(peccator simul iustus)라는 표현은 옳습니다. “나는 목마른 자에게 (3___)을 주며 마른 땅에 (4____)가 흐르게 하며, 나의 (5___)을 네 자손에게, 나의 (6___)을 네 후손에게 부어 주리니”(3절) 이 얼마나 과분한 […]

이사야 43장 하나님의 구원과 인간의 죄

이사야 43장 하나님의 구원과 인간의 죄

사 43:1

 

구원은 전적 하나님의 은혜로 됩니다. 전적으로 타락한 이스라엘 백성은 옛 언약의 요구를 전혀 충족시키지 못합니다.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만 구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 분의 하나님 됨과 그 분의 구원하는 일들이 여러 가지로 반복해 표현됩니다. “창조자”(1, 15절), “구속자”(1, 14절), “거룩한 이”(3, 15절), “구원자”(3, 11절), “하나님”(3, 12절), “여호와”(11절)와 “왕”(15절)으로 구원자가 소개됩니다. 동시에 구원 받는 이스라엘 백성에 대해서는 “너”(1절), “나의 증인”(10, 12절), “나의 종”(10절), “택한 자”(20절), “이 백성”(21절), “야곱”(22절)이라고 부릅니다.

 

하나님의 일방적 구원 선포를 들어보십시오. 얼마나 감격적인지요. “……너는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를 (1____)하였고 내가 너를 (2____)하여 불렀나니 너는 (3___) 것이라.”(1절) 구원은 하나님의 택함과 부름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네가 […]

이사야 42장 종의 노래(1)와 구원의 목적

이사야 42장 종의 노래(1)와 구원의 목적

사 42:1

 

이사야서에는 네 개의 ‘종의 노래’(42:1-9, 49:1-6, 50:4-11, 52:13-53:12)가 나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이사야 42장 1-9절입니다. 이 종은 다름 아닌 메시아,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예수님은 친히 이 종의 노래 중 일부를 인용(마 12:18-20)합니다. “내가 붙드는 나의 (1___), 내 마음이 기뻐하는 자, 곧 내가 택한 사람을 보라. 내가 나의 (2___)을 그에게 주었은즉, 그가 이방에 정의를 베풀리라. 그는 외치지 아니하며 목소리를 높이지 아니하며, 그 소리를 거리에 들리게 하지 아니하며, 상한 갈대를 꺾지 아니하며 꺼져가는 (3____)을 끄지 아니하고 진실로 (4____)를 시행할 것이며”(1-3절)

 

하나님이 당신의 택한 백성을 사랑하셔 애가 달아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불의하지만, 당신 자신의 “의”로 부르고 보호하고 빛이 되게 합니다. […]

이사야 41장 하나님이 자기 백성을 구원함

이사야 41장 하나님이 자기 백성을 구원함

사 41:10

 

하나님과 이스라엘의 관계를 이렇게 표현합니다. “그러나 나의 (1___) 너 이스라엘아! 내가 택한 (2____)아! 나의 (3___) 아브라함의 자손아!”(8절) 온 우주와 세계의 통치자 하나님 앞에 모든 나라들이 두려워하며 떨 것이지만(5절), 이스라엘은 무서워 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 그렇습니까? 하나님의 구원 때문입니다. “두려워하지 말라. 내가 너와 (4____) 함이라. 놀라지 말라. 나는 네 (5_____)이 됨이라. 내가 너를 굳세게 하리라. 참으로 너를 (6____) 주리라. 참으로 나의 의로운 오른손으로 너를 붙들리라.”(10절)

 

그런데 하나님은 왜 이스라엘을 사랑해 구원하려 할까요? 무슨 대단한 열심이 있고 기특한 일을 했기 때문일까요? 아닙니다. 이스라엘은 그저 “(7_____) 같은 너 야곱”(14절)일 뿐입니다. “버러지”로 표현되는 이스라엘 백성은 연약하고 무가치합니다. 그에 비해 […]

이사야 40장 언약의 하나님이 언약백성을 구원하다

이사야 40장 언약의 하나님이 언약백성을 구원하다

사 40:1

 

이사야의 전반부 1-39장과 후반부 40-66장의 분위기는 다릅니다.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의 분위기 차이처럼 말입니다. 1-39장까지는 남 유다와 예루살렘의 언약 파기로 인한 바빌론 포로를 예언했다면, 40-66장은 바빌론 포로 생활을 끝내고 돌아올 것을 예언합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과 언약을 맺으고 약속과 더불어 가나안 땅을 주었습니다. 또 모세와 언약을 맺고 이스라엘을 언약백성으로 삼았습니다. 다윗과 언약을 맺고 영원한 왕권(하나님 나라)을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언약백성은 하나님과의 언약을 깨뜨립니다. 그들은 ‘복’ 대신 ‘벌’을 받습니다. 결국 북 왕국 이스라엘은 주전 722년 아시리아에 의해 멸망하고, 남 왕국 유다는 주전 586년 바빌론에 의해 포로로 잡혀 갑니다. 언약백성이 믿음으로 순종하지 않음으로 복은커녕 저주를 받아 심각한 불행 가운데 빠집니다.

 

인간은 하나님의 […]

이사야 39장 히스기야의 바빌론 외교관들에 대한 부와 힘 자랑

이사야 39장 히스기야의 바빌론 외교관들에 대한 부와 힘 자랑

사 39:1 (왕하 20:12-19)

 

이사야 39장은 역사적 정황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당시 세계의 최강대국은 아시리아입니다. 바빌론은 약소국으로 갈대아 우르 지방(엘람)에 있으면서 힘을 기르고 있었습니다. 아시리아 사르곤(Sargon) 2세의 힘에 눌려 속국으로 전락하곤 했습니다. 그 후 바빌론의 므로닥발라단(Marduk-Baladan)이 힘을 길러 독립합니다. 그래도 바빌론은 아직 힘이 미미합니다. 아시리아에 대항하기 위해 여러 속국들과 동맹을 맺으려 합니다.

이 관점에서 39장을 이해해야 합니다. “그 때에 발라단의 아들 바벨론 왕 므로닥발라단이 (1______)가 병들었다가 나았다 함을 듣고 히스기야에게 (2___)과 예물을 보낸지라.”(1절) 히스기야의 반응을 보십시오. “히스기야가 (3____)들로 말미암아 기뻐”(2절)합니다. 이 반응은 인간적으로 볼 때 이해가 됩니다. 남 유다를 공격하며 늘 못살게 […]

이사야 38장 히스기야의 병과 회복

이사야 38장 히스기야의 병과 회복

사 38:5 (왕하 20:1-11; 대하 32:24-26)

 

“그 때”는 언제일까요? 이사야 38장의 내용은 아시리아가 물러가기 전에 일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왜냐하면 6절에서 “너와 이 (1___)을 앗수르 왕의 손에서 건져내겠고 내가 또 이 성을 보호하리라”고 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예루살렘을 꼭 구원해 주겠다는 약속을 히스기야의 병을 치료하고 생명을 15년이나 연장시켜 줌으로 확신시켜 줍니다. 또 곁들여 하나의 (2____)와 증거를 줍니다(7절). 아하스의 해시계의 해 그림자를 10도 물러가게 한 것입니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한 지는 전혀 언급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알 수 없습니다. 하나님의 관심은 왕 히스기야의 생명을 연장시키는 것이기도 하지만, 주요 관심은 예루살렘 성의 구원, 곧 당신의 택한 백성의 구원입니다.

 

정말 히스기야는 기도하여 병이 나아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