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다우리교회

이 저자는 아직 상세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So far 다우리교회 has created 1512 blog entries.

이사야 55장 은혜로운 영원한 언약

이사야 55장 은혜로운 영원한 언약

사 55:1

 

다윗과 맺은 하나님의 언약은 영원히 효력이 있습니다. “내가 너희를 위하여 영원한 (1____)을 맺으리니, 곧 다윗에게 허락한 확실한 은혜이니라.”(3절) 이 언약은 “여호와의 종”(52-53장)을 통해 성취될 것입니다. 이 언약은 일차적으로 유대인을 향한 것이지만, 후에 모든 민족을 향할 것입니다. “보라, 내가 그를 (2____)에게 증인으로 세웠고, 만민의 (3_____)와 명령자로 삼았나니, 보라, 네가 알지 못하는 (4____)를 네가 부를 것이며……”(4-5절) 할렐루야!

 

하나님은 유목민의 생활로 ‘은혜 베풂’을 설명합니다. 광야는 물이 귀한 곳입니다. 물은 생명을 주고 포도주는 기쁨을 제공합니다. 물이 없으면 갈증이 생기고, 포도주가 없으면 슬픔을 위로할 수 없습니다. 젖은 어린 양에게 꼭 필요합니다. 이것은 유대인뿐만 아니라, 이방인도 마찬가지입니다. “오호라, 너희 모든 (5___)마른 자들아! […]

이사야 54장 화평의 언약

이사야 54장 화평의 언약

사 54:5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진노합니다. 하나님은 그들을 버리고(7절) 얼굴을 (1____) 가렸지만(8절), 큰 긍휼(7절)과 영원한 (2____)(8절)로 구원하실 것을 약속합니다. 하나님의 위로를 들어보십시오. “두려워하지 말라. 네가 (3____)를 당하지 아니하리라. 놀라지 말라. 네가 부끄러움을 보지 아니하리라. 네가 네 젊었을 때의 수치를 잊겠고 (4____) 때의 치욕을 다시 기억함이 없으리니”(4절) 하나님은 당신 자신을 다양한 모습으로 표현합니다. “지으신 이”, “남편”, “만군의 여호와”, “구속자”, “거룩한 이”, “온 땅의 하나님”(5절) 하나님이 ‘남편’이라면 우리는 그분의 ‘신부’입니다. 피조물에 불과한 우리가 하나님의 신부라니요! 놀라운 은혜입니다.

 

하나님이 당신의 백성에게 사랑의 표시로 준 것이 언약(서약)입니다. 이 언약을 ‘화평(평화)의 언약’(foedus pacis; pactum salutis)이라 부릅니다(10절). 삼위일체 하나님이 영원 전에 의논한 작정입니다. 신랑 된 […]

이사야 53장 종의 노래(4): 고난

이사야 53장 종의 노래(4): 고난

사 53:5

 

이사야 52장 13절부터 53장 12절까지는 네 번째 ‘종의 노래’입니다. 이 ‘종의 노래’에는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이 가장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신약성경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행 8:30-35; 벧전 2:22-25). 이 구절에는 세 가지의 인칭대명사가 등장합니다. “나”, “그” 그리고 “우리”입니다. ‘나’는 여호와이고, ‘그’는 여호와의 종이며, ‘우리’는 죄를 짊어지게 될 종을 필요로 하는 자들입니다. 하나님으로부터 보냄 받은 직분자인 종으로서의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은 지혜 그 자체이기 때문에 절대로 실패하지 않습니다. “보라 내 종이 (1____)하리니”(13절). 하지만, 그 직분자는 고난 받는 종입니다. 예수 그리스도는 고난 받는 종이었습니다. “전에는 그의 모양이 타인보다 (2___)하였고 그의 모습이 사람들보다 상하였으므로 많은 사람이 그에 대하여 […]

이사야 52장 복 된 좋은 소식

이사야 52장 복 된 좋은 소식

사 52:1

 

하나님이 언약을 버린 백성에게 벌을 내려 아시리아와 바빌론으로 잡혀가게 했지만, 다시 그들을 예루살렘으로 돌아오게 할 것입니다. 그런데 이방 나라가 이스라엘의 포로 됨을 보고 하나님의 이름을 더럽히고 조롱했습니다. 이제 하나님이 택한 백성을 위로하고 구원할 것입니다(9절). 이 소식을 전하는 자의 발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노래합니다.

“좋은 (1____)을 전하며 (2____)를 공포하며 복된 좋은 소식을 가져오며 (3____)을 공포하며 시온을 향하여 이르기를 네 하나님이 통치하신다, 하는 자의 산을 넘는 (4___)이 어찌 그리 아름다운가!”(7절) “복된 좋은 소식”이 바로 ‘복음’(Good news)입니다. 이 말씀은 사도 바울에 의해 로마서에서 다시 인용됩니다(롬 10:15). 복음 선포자의 외침을 들어보십시오. “시온이여 깰지어다. (5___)지어다……”(1절) “너희는 떠날지어다. (6____)지어다……”(11절)

 

답: 1. 소식, 2. […]

이사야 51장 언약ㆍ구원ㆍ공의

이사야 51장 언약ㆍ구원ㆍ공의

사 51:1

 

이사야 선지자는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에게 약속된 위로를 세 가지로 선포합니다. 첫째,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을 (1____)에서 떠내고 (2_____ )에서 파낸 것으로 표현합니다(1-2절). 이스라엘 백성이 나온 반석과 웅덩이는 아브라함과 사라를 의미합니다. 아브라함을 은혜로 선택하셨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혼자 있을 때에 내가 그를 (3____)고 그에게 (4___)을 주어 (5____)하게 하였느니라.”(2절) 둘째, 하나님은 당신의 택한 백성을 사랑으로 구원하기 위해 사막을 (6____)같고, 광야를 여호와의 (7____)같이 만들 것입니다(3절). 동시에 하나님의 구원은 영원하며 온 세상을 향할 것입니다(6-8절). 하나님의 통치는 공의와 사랑, 심판과 구원으로 나타나는데, 공의 심판은 바빌론을 향하고 사랑의 구원은 이스라엘 백성을 향합니다(5, 6, 8절). 위대한 능력의 하나님이 표현된 구절을 읽어보십시오. “나는 네 하나님 여호와라. 바다를 […]

이사야 50장 종의 노래(3)

이사야 50장 종의 노래(3)

사 50:4

 

이스라엘 백성이 고난당한 책임은 누구에게 있을까요? 하나님이 벌을 내린 당사자이니, 하나님 잘못일까요? 아닙니다. 이스라엘 백성 자신의 죄악 때문입니다. “……보라 너희는 너희의 (1____)으로 말미암아 팔렸고 너희의 어미는 너희의 (2____)함으로 말미암아 내보냄을 받았느니라.”(1절) 하나님의 팔이 짧아 구원하지 못한 것이 아니라, 이스라엘 스스로 죄를 지었기 때문입니다.

 

4-11절은 세 번째 ‘종의 노래’로 불립니다. 여기에는 여호와의 종이 “학자들의 (3___)”를 받습니다(4절). 하나님은 택한 종에게 아침마다 깨우치고 학자들같이 알아듣게 할 것입니다. 여호와의 종은 경청하고 믿어 깨닫습니다. 여호와의 종은 이렇게 다시 자신처럼 말씀을 듣고 믿는 자들에게 구원을 베풀 것입니다. 여기서 “학자”(לִמּוּד; Disciples; The Learned)는 ‘제자’(disciple), 곧 ‘배우는(discere: 라틴어로 배우다) 자’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이 종은 선지자 […]

이사야 49장 종의 노래(2)와 구속자 하나님

이사야 49장 종의 노래(2)와 구속자 하나님

사 49:6

 

이사야 49장 1-7절은 두 번째 등장하는 종의 노래(첫 번째 종의 노래는 42:1-7)입니다. 여기에 나오는 1인칭 “내”, “나”, “내 어머니”, “내 이름”, “내 입”, “나의 종”은 ‘하나님의 종’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이 태에서부터 부르고 알아 택한 종입니다. 하나님의 일을 위하여 특별히 부름 받은 직분자입니다. ‘하나님의 종’을 날카로운 칼 같이 만들고, 갈고 닦은 화살로 만들어 당신의 백성을 구원하기 위해 사용할 것입니다(2절). 이 ‘하나님의 종’은 일차적으로 “(1____)라엘”(3절)입니다. 이 이스라엘 가운데 ‘구속자’가 나타나게 될 것인데, 그가 바로 ‘하나님의 종’입니다. ‘하나님의 종’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완성됩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은 헛되이 수고한 것처럼 보일 것입니다(4절). 유대인들이 예수님을 싫어하고 영접하지 않습니다(마 23:37; 요 1:11). […]

이사야 48장 남 유다의 교만과 하나님의 긍휼

이사야 48장 남 유다의 교만과 하나님의 긍휼

사 48:9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의 악한 성향을 잘 알고 있습니다. “내가 알거니와 너는 (1____)하며 네 목은 (2___)의 힘줄이요, 네 이마는 (3___)이라.”(4절) 이스라엘 백성은 “(4____)이 없고 공의가 없도다”(1절)라고 평가합니다. 그에 비해 하나님은 “(5____)이요 또 나는 (6_____)”(12절)으로 표현됩니다. 하나님은 모든 일의 시종일관을 다스리며 변함이 없는 분입니다.

하지만 이스라엘 백성은 어떤 일이 일어나면 ‘내 그럴 줄 알았다’라고 말합니다. 마치 자기가 만들어 섬겼던 우상이 일의 시작과 결말을 알고 있었고 그 원인까지 조정할 수 있었던 것처럼 생각합니다. 종교적으로도 하나님의 이름을 팔아먹습니다. “그들은 거룩한 (7___) 출신이라고 스스로 부르며,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8____)한다, 하며 그의 이름이 만군의 여호와라고 하나”(2절) 혼합주의적 종교생활을 하는 어리석은 이스라엘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