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다우리교회

이 저자는 아직 상세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So far 다우리교회 has created 1460 blog entries.

이사야 18장 이방 구스를 향한 구원의 선포

이사야 18장 이방 구스를 향한 구원의 선포

사 18:1

 

구스(Cush)는 아프리카의 중남 쪽에 있는 현재의 에티오피아와 달리, 이집트의 남부 지방인 나일 강의 상류지역으로 보입니다. “(1____) 치는 소리 나는 땅”(1절)은 곤충 메뚜기 떼를 의미하는 데 구스의 군대를 비유한 것입니다. “갈대 (2___)를 물에 띄우고 그 사자를 수로”(2절)로 보냅니다. ‘수로’는 나일 강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은 구스 땅도 다스립니다. 아시리아를 향한 심판이 얼마나 무서운지 구스를 향해 경고합니다. 5-6절의 ‘포도나무 비유’는 아시리아의 멸망에 관한 것입니다. 동시에 이방의 대표 구스에게 복음이 선포됩니다. 7절을 보십시오. “그 때에 강들이 흘러 나누인 나라의 장대하고 준수한 (3____), 곧 시초부터 두려움이 되며 강성하여 대적을 밟는 (4____)이 만군의 여호와께 드릴 (5____)을 가지고 만군의 여호와의 이름을 […]

이사야 17장 다메섹과 에브라임에 관한 경고

이사야 17장 다메섹과 에브라임에 관한 경고

사 17:3

 

다메섹은 북 왕국 이스라엘 위쪽에 있는 아람(Aram)의 수도인데 오늘 날의 시리아 지역에 해당합니다. 현재 다마스쿠스(Damascus)라고 부르는데 사울이 그리스도인을 핍박하러 가던 곳이기도 합니다. ‘다메섹’으로 대표되는 아람은 북 왕국 이스라엘을 괴롭혔던 나라인데 이사야의 예언(1절)대로 주전 732년 새롭게 떠오른 아시리아(디글랏빌레셀 III세)에 의해 멸망합니다.

 

이어서 언급되는 에브라임(3절부터)은 북 왕국 이스라엘을 가리킵니다. 이스라엘이 다메섹과 함께 언급된 것은 아시리아에 대항하기 위해 두 나라가 동맹을 맺었기 때문입니다. 제아무리 두 나라가 힘을 합쳐도 하나님의 심판을 피해 갈 수 없습니다. “(1______)의 요새와 (2_____) 나라와 아람의 남은 자가 멸절하여 이스라엘 자손의 영광 같이 되리라. 만군의 여호와의 말씀이니라.”(3절) 에브라임의 어리석음은 가나안 백성으로부터 구원해 준 “구원의 하나님”을 […]

이사야 16장 모압의 죄는 교만

이사야 16장 모압의 죄는 교만

사 16:6

 

모압의 죄는 교만입니다. 교만으로 멸망합니다. 늘 포도나무에서 나는 생산물로 바다 건너 외국까지 수출하며 부를 누렸지만(8절), 포도원에는 노래와 즐거운 소리가 없어지겠고 포도 틀에는 밟을 사람이 없을 것입니다. 즐거운 소리가 그칠 것입니다(9절). 모압이 멸망하지만, 그들에게 희망이 없지는 않습니다. “다윗의 (1____)에 인자함으로 (2____)가 굳게 설 것이요, 그 위에 앉을 자는 충실함으로 (3____)하며 (4____)를 구하며 (5____)를 신속히 행하리라.”(5절) 언약 밖에 있는 자들도 일말의 희망이 있습니다. 언약의 성취가 메시아를 통해 이루어짐으로 그 혜택을 누릴 것입니다. 하지만 그들의 교만은 심각합니다. “우리가 모압의 교만을 들었나니, 심히 교만하도다. 그가 (6____)하며 교만하며 분노함도 들었거니와 그의 (7____)이 헛되도다.”(6절). 그들은 돌이키지 않고 죄를 계속합니다. “모압이 그 […]

이사야 15장 모압에 관한 경고

이사야 15장 모압에 관한 경고

사 15:1

 

모압에 대한 경고입니다(1절). 모압(Moab)은 사해(死海) 동쪽에 있는 나라로 이스라엘의 영원한 적입니다. 알다시피 모압은 언약백성 이스라엘과 역사적으로 가까운 관계(룻 1:1-4, 4:13-17; 삼상 22:3-4)입니다. 모압은 아브라함의 조카 롯의 큰 딸이 낳은 자손입니다(창 19:37 작은 딸이 낳은 자손은 암몬: Ammon). 북 왕국 이스라엘이 멸망하는 것을 보고 기뻐하고 즐거워하던 모압도 아시리아의 공격에 하룻밤에 패망합니다(주전 715 아시리아의 사르곤의 침략 때로 보임). “알”(1절)은 ‘한 성읍’이라는 뜻입니다. “기르”(1절)는 ‘벽이 있는 성읍’을 의미합니다. 모압의 대표적 성들이 멸망할 것입니다. “……그들이 각각 머리카락을 밀고 각각 (1____)을 깎았으며 거리에서는 굵은 (2___)로 몸을 동였으며 지붕과 넓은 곳에서는 각기 (3____)하며 심히 울며”(3-4절) 모압은 자신의 죄로 인해 하나님의 심판을 […]

이사야 14장 교만한 아시리아와 바빌론의 멸망

이사야 14장 교만한 아시리아와 바빌론의 멸망

사 14:1

 

바빌론이 하나님의 심판으로 멸망 받는 “그 날”이 택한 백성에게는 구원의 날입니다. “여호와께서 야곱을 긍휼히 여기시며 이스라엘을 다시 택하여 그들의 (1___)에 두시리니 나그네 된 자가 야곱 족속과 (2____)하여 그들에게 (3____)될 것이며”(1절) 이 때 “나그네 된 자”도 구원의 혜택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나그네”는 이방인을 말합니다.

 

이사야는 다시 바빌론이 왜 망할 수밖에 없는지 시의 언어로 자세히 예언합니다. “너 아침의 아들 (4_____)이여! 어찌 그리 하늘에서 떨어졌으며 너 열국을 엎은 자여! 어찌 그리 땅에 찍혔는고, 네가 네 마음에 이르기를 내가 하늘에 올라, 하나님의 뭇 (5___) 위에 내 자리를 높이리라. 내가 북극 집회의 (6___) 위에 앉으리라. 가장 (7____) 구름에 올라가 지극히 […]

이사야 13장 하나님의 도구 바빌론의 멸망

이사야 13장 하나님의 도구 바빌론의 멸망

사 13:1

 

이사야 13~23장까지는 세상을 향한 하나님의 ‘심판’과 ‘은혜’ 베푸심을 예언합니다. 이사야는 모든 나라를 다스리시는 온 세계의 주권자 하나님을 선포합니다. 택한 백성만 아니라, 세상의 모든 사건까지도 다스리고 돌봅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구주(Savior)일뿐만 아니라 세상의 왕(Lord)입니다.

 

이사야는 세계 역사 가운데 택한 백성을 벌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인 바빌론에 대한 심판을 예언합니다. 비록 바빌론은 아시리아의 한 속국에 불과했지만, 나중에 바빌론이 유다를 벌하는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될 것입니다. 그 날은 주전 539년이 될 것입니다. 이사야는 ‘그 날’을 예언합니다. 그 날은 “여호와의 (1___)”(9절), 혹은 “만군의 여호와가 (2___)하여 맹렬히 (3___)하는 날”(13절)입니다. 바빌론은 메소포타미아에 의해 멸망합니다(17절).

 

답: 1. 날, 2. 분, 3. 노

이사야 12장 구원의 기쁨과 감사를 노래한 시

이사야 12장 구원의 기쁨과 감사를 노래한 시

사 12:2

 

이사야 12장은 감사의 시(詩)입니다. 구원과 기쁨에 대한 노래입니다. 이 시는 1-3절과 4-6절로 나뉩니다. “보라! 하나님은 나의 (1____)이시라. 내가 (2____)하고 (3_____)이 없으리니, 주 여호와는 나의 (4___)이시며 나의 (5____)시며 나의 (6____)이심이라. 그러므로 너희가 기쁨으로 구원의 우물들에서 물을 길으리로다.”(2-3절) 죄와 허물 때문에 하나님의 심판 아래 있었던 백성이 하나님의 구원으로 인해 얼마나 큰 기쁨과 힘을 얻게 되는지 노래합니다. 죄로 죽었다가 다시 산 사람이라면 이 찬송이 자신의 고백으로 와 닿을 것입니다. “여호와를 찬송할 것은 극히 (7______) 일을 하셨음이니, 이를 (8___) 땅에 알게 할지어다.”(5절) 시인은 찬양으로 하나님을 전하고 감사하며 아름다운 일을 선포합니다.

 

답: 1. 구원, 2. 신뢰, 3. 두려움, 4. […]

이사야 11장 메시아와 평화의 나라

이사야 11장 메시아와 평화의 나라

사 11:1

 

하나님은 아시리아를 ‘숲’에 비유하며 다 잘라버릴 것이라고 했습니다. 다른 한편 아시리아에게 잘려진 나무 같은 처지에 있는 유다에게 희망이 있다고 예언합니다. “이새의 줄기에서 한 (1___)이 나며 그 뿌리에서 한 (2____)가 나서 결실할 것이요.”(1절) 북 왕국 이스라엘은 주전 722년 멸망하지만, 유다는 아직 때가 아닙니다. 이사야는 단순히 유다와 예루살렘이 아니라 메시아를 통해 온 인류를 위해 완전하게 임할 하나님 나라의 모습을 예언합니다. “그 때에 이리가 어린 (3___)과 함께 살며 표범이 어린 염소와 함께 누우며 송아지와 어린 사자와 살진 짐승이 함께 있어 어린 아이에게 끌리며……젖 먹는 아이가 독사의 구멍에서 (4____)하며 젖 뗀 어린 아이가 독사의 굴에 손을 넣을 것이라.”(6-8절) 단순히 […]

이사야 10장 아시리아(강대국)의 멸망과 남은 자의 구원

이사야 10장 아시리아(강대국)의 멸망과 남은 자의 구원
사 10:12

하나님은 온 세상의 통치자입니다. 세계 최강국 아시리아조차도 하나님의 도구로 사용됩니다. 아시리아는 하나님의 존재를 믿지 않고 스스로 높아져 교만합니다. 자신이 세상을 다스릴 자격이 있고 능력이 있다고 자랑합니다. “앗수르 사람은 화 있을진저, 그는 내 (1____)의 막대기요, 그 (2___)의 몽둥이는 내 (3____)라.”(5절) 하나님은 아시리아 왕의 완악한 (4____)의 열매와 높은 (5___)의 자랑을 벌할 것입니다(12절). 아시리아는 자기 힘과 지혜와 총명으로 다른 나라의 재물을 약탈하고 전쟁에서 승리했다고 자만합니다. 그 어리석음(13-14절)을 이렇게 표현합니다. “도끼가 어찌 찍는 자에게 스스로 (6____)하겠으며, 톱이 어찌 (7___)는 자에게 스스로 (8___) 체 하겠느냐? 이는 막대기가 자기를 드는 자를 (9____)이려 하며 몽둥이가 나무 아닌 사람을 (10___)려 함과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