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다우리교회

이 저자는 아직 상세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So far 다우리교회 has created 1458 blog entries.

이사야 25장 하나님의 구원과 기쁨의 찬송

이사야 25장 하나님의 구원과 기쁨의 찬송

사 25:1

 

구원 받은 자들로 대표되는 “그 장로들”(25:23)이 하나님의 영광을 노래합니다. “여호와여! 주는 (1___)의 하나님이시라. 내가 (2___)를 높이고 주의 (3____)을 찬송하오리니, 주는 기사를 옛적에 정하신 (4___)대로 성실함과 (5____)함으로 행하셨음이라.”(1절) 하나님의 구원은 큰 기쁨을 동반합니다. “만군의 여호와께서 이 산에서 만민을 위하여 기름진 것과 오래 저장하였던 포도주로 (6____)를 베푸시리니, 곧 골수가 가득한 기름진 것과 오래 저장하였던 맑은 (7_____)로 하실 것이며”(6절) “오래 저장하였던 맑은 포도주”는 앙금이 가라앉도록 오래 저장한 가장 좋은 포도주를 의미합니다. 뿐만 아니라, “(8____)을 영원히 멸하실 것이라”(8절)고 노래합니다. 더 나아가 “주 여호와께서 모든 얼굴에서 (9____)을 씻기시며 자기 백성의 수치를 온 천하에서 제하시리라”(8절) 이 말씀은 신약성경 요한계시록(계 7:17; […]

이사야 24장 온 세상의 왕이신 하나님!

이사야 24장 온 세상의 왕이신 하나님!

사 24:1

 

이사야 24-27장은 마지막 심판의 날과 구원의 날에 대한 결론입니다. 13-23장까지는 구체적 여러 나라의 죄와 교만에 대한 심판을 다루지만, 24-27장은 좀 더 일반적이고 포괄적 세계의 마지막 심판에 대한 것을 예언합니다. 물론 희망을 전합니다. 마지막 승리의 날에 임하게 될 구원을 예언합니다. 심판과 구원이 함께 등장하는 신약성경의 ‘요한계시록’을 보는 듯합니다.

 

하나님의 심판은 인간의 죄로 인하여 거처인 땅에 임합니다. 땅이 공허하게 되고 황폐하게 되며 뒤집어엎어질 것입니다(1절). “땅이 또한 그 주민 아래서 (1____)게 되었으니, 이는 그들이 (2____)을 범하며, (3____)를 어기며, 영원한 (4____)을 깨뜨렸음이라.”(5절) 하나님의 진노는 무시무시합니다. “성읍이 (5____)하고 성문이 (6____)되었느니라. 세계 (7____) 중에 이러한 일이 있으리니, 곧 (8____)나무를 흔듦 같고 […]

이사야 23장 두로에 관한 경고

이사야 23장 두로에 관한 경고

사 23:1

 

두로(Tyre)에 대한 경고입니다. “두로”는 가나안 서북 해안의 주요 항구 도시입니다. 갈멜 산 북쪽 36.3km 지점에 있습니다. 두로의 일부는 해안에서 떨어진 두 바위섬에 건설되었습니다. 두로는 부자 도시입니다. “시홀의 (1____), 곧 나일의 추수를 큰물로 (2____)하여 들였으니, 열국의 (3____)이 되었도다.”(3절) “시홀”(Shihor)은 나일 강의 가장 동쪽에 있는 지류입니다. 두로는 “열국의 시장”이니 상업과 무역의 중심지로 부요한 도시였습니다. 또 두로는 “희락의 성”(7절), 곧 괘락의 도시입니다. 돈으로 쾌락을 쫓아 즐깁니다. 하나님은 세상의 모든 영광과 부로 인한 두로의 교만과 쾌락에 대해 벌합니다. “만군의 여호와께서 그것을 정하신 것이라. 모든 누리던 (4____)를 욕되게 하시며 (5____)의 모든 (6____)하던 자가 멸시를 받게 하려 하심이라.”(9절)

하지만, 두로는 멸망이 있은 […]

이사야 22장 환상의 골짜기(남 유다)에 관한 경고

이사야 22장 환상의 골짜기(남 유다)에 관한 경고

사 22:5

 

이사야 선지자는 “(1____)의 골짜기”에 대해 경고합니다(1절). “환상의 골짜기”란 무엇일까요? 이사야가 환상(vision)을 본 장소인데 예루살렘입니다. 하나님이 남 유다를 용서하지 않을 것입니다. “너희가 죽기까지 (2____)하지 못하리라.”(14절) 왜 그럴까요? “……그러나 너희가 이를 행하신 이를 (3____)하지 아니하였고 이 일을 옛적부터 경영하신 이를 (4____)하지 아니하였느니라. 그 날에 주 만군의 여호와께서 명령하사 (5____)하며 애곡하며 머리털을 뜯으며 굵은 베를 띠라 하셨거늘, 너희가 기뻐하며 즐거워하여 소를 죽이고 양을 잡아 고기를 먹고 포도주를 마시면서 (6____) 죽으리니 (7____) 마시자, 하는 도다.”(11-13절) 남 유다는 하나님을 경외하지 않고 하나님의 심판의 경고를 듣고도 회개하지 않습니다. 하나님 백성의 배신과 악행이 막장드라마 같습니다.

 

남 유다의 통치자들, 국고를 맡고 왕궁 […]

이사야 21장 해변 광야(바빌론ㆍ에돔ㆍ아라비아)에 관한 경고

이사야 21장 해변 광야(바빌론ㆍ에돔ㆍ아라비아)에 관한 경고

사 21:1

 

온 우주의 통치자 하나님의 다스림은 계속됩니다. 하나님의 심판은 바빌론과 에돔과 아라비아로 넓어집니다. 1절의 “해변 (1____)”는 유브라데 강과 티그리스 강 사이에 있는 평원을 의미합니다. 다가올 강대국 바빌론조차 하나님의 심판을 피하지 못할 것입니다. 바빌론은 엘람이 포함된 페르시아(바사)와 메대 왕국에 의해 멸망합니다(2절). 바빌론이 어떻게 갑자기 멸망할지 표현하는 이사야의 예언을 들어 보십시오. “보소서! 마병대가 쌍쌍이 오나이다, 하니, 그가 대답하여 이르시되 (2____)되었도다. 함락되었도다. (3_____)이여! 그들이 조각한 (4____)들이 다 부서져 땅에 떨어졌도다, 하시도다.”(9절) 성경에서 바빌론은 모든 불신 세계를 의미합니다. 이 구절은 요한계시록에서 다시 인용됩니다(계 14:8; 18:2).

 

두마에 대해 경고합니다(11절). ‘두마’(=>eDoM)는 에돔(=>DuMa)을 가리킵니다. ‘두마’는 ‘침묵’, ‘고요함’ 혹은 ‘지하세계’를 의미하는데 에돔을 상징하는 비슷한 […]

이사야 20장 벌거숭이 이사야

이사야 20장 벌거숭이 이사야

사 20:2

 

이사야가 “앗수르의 (1_____) 왕이 다르단을 아스돗으로 보내매 그가 와서 아스돗을 쳐서 취하던 해”(1절)에 하나님의 명령을 받고 행동(=연기)으로 예언합니다. 아스돗(Ashdod)은 블레셋의 성입니다(삼상 5:1). 아스돗은 아시리아의 공격 때 이집트의 지원을 믿고 항복하지 않고 대항해 싸웠지만, 이집트의 지원을 받지 못해 완전히 패망했습니다. 이때가 주전 711(712)년 경입니다. 이사야는 ‘벗은 몸과 벗은 발로’ 다니며 벌거숭이로 (2___) 년 동안 이집트와 구스에 대해 (3____)와 예표가 되었습니다(1-3절). ‘벗은 몸과 벗은 발’은 전쟁 포로를 암시합니다. 선지자들은 때로 극적이고 심지어 기이한 행동으로 하나님의 말씀을 연기하는 형태로 전하기도 했습니다(렘 19장, 27-28장, 43장; 겔 3:22-5:17, 12:1-20, 24:15-27). 이사야는 3년 동안 벌거숭이 선지자로 사역했습니다.

 

남 왕국은 주전 722-721년 아시리아가 북 […]

이사야 19장 이집트에 관한 경고

이사야 19장 이집트에 관한 경고

사 19:1

 

만년 강대국이었던 이집트(Egypte)에 대한 경고입니다. 온 세상의 통치자가 하나님임을 분명하게 선언합니다. “보라! 여호와께서 빠른 (1____)을 타고 애굽에 임하시리니, 애굽의 (2____)들이 그 앞에서 (3___)겠고 애굽인의 (4____)이 그 속에서 녹으리로다.”(1절) 4절의 “잔인한 주인”은 신생 강대국 아시리아를 의미합니다(사 20:4). 주전 670년 경 아시리아의 에살핫돈(Esarhaddon) 왕이 이집트를 정복했습니다.

이집트의 모든 경제적 근원은 나일 강입니다. 그런데 나일 강이 심각한 가뭄(5-10절)으로 농업(7절)ㆍ어업(8절)ㆍ직물업(9절)ㆍ건축업(10절)이 심각한 타격을 받게 될 것입니다. 이집트의 정치가(11절)와 전략가(11절)는 어리석고 우둔해 하는 일마다 실패할 것입니다. 인간이 가진 지식은 하나님의 지혜로운 통치에 비하면 어리석을 뿐입니다. “여호와께서 그 가운데 (5______) 마음을 섞으셨으므로 그들이 애굽을 (6____)에 잘못 가게 함이 취한 자가 토하면서 (7______) 같게 […]

이사야 18장 이방 구스를 향한 구원의 선포

이사야 18장 이방 구스를 향한 구원의 선포

사 18:1

 

구스(Cush)는 아프리카의 중남 쪽에 있는 현재의 에티오피아와 달리, 이집트의 남부 지방인 나일 강의 상류지역으로 보입니다. “(1____) 치는 소리 나는 땅”(1절)은 곤충 메뚜기 떼를 의미하는 데 구스의 군대를 비유한 것입니다. “갈대 (2___)를 물에 띄우고 그 사자를 수로”(2절)로 보냅니다. ‘수로’는 나일 강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은 구스 땅도 다스립니다. 아시리아를 향한 심판이 얼마나 무서운지 구스를 향해 경고합니다. 5-6절의 ‘포도나무 비유’는 아시리아의 멸망에 관한 것입니다. 동시에 이방의 대표 구스에게 복음이 선포됩니다. 7절을 보십시오. “그 때에 강들이 흘러 나누인 나라의 장대하고 준수한 (3____), 곧 시초부터 두려움이 되며 강성하여 대적을 밟는 (4____)이 만군의 여호와께 드릴 (5____)을 가지고 만군의 여호와의 이름을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