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레미야애가 5장 옛적 같게 하옵소서
예레미야애가 5장 옛적 같게 하옵소서
애 5:21
마지막 애가는 예루살렘이 얼마나 비참한 치욕(1절)과 고통을 겪는지 묘사하며, 이 모든 것이 자신들의 죄 때문(7, 16절)임을 고백하며, 회개하는 마음을 표현합니다. 동시에 겸손한 마음으로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그분의 권위 앞에 구원을 간절히 바랍니다.
바빌론의 예루살렘 침략은 유다 모든 계층의 사람들에게 치명적 아픔을 줍니다. “대적들이 시온에서 (1____)들을, 유다 각 성읍에서 (2____)들을 욕보였나이다. 지도자들은 그들의 손에 (3____)리고 장로들의 얼굴도 (4____)을 받지 못하나이다. 청년들이 (5____)을 지며, 아이들이 (6____)를 지다가 엎드러지오며, 노인들은 다시 (7____)에 앉지 못하며 (8____)들은 다시 노래하지 못하나이다.”(11-14절)
그러나 희망의 끊을 놓지 않습니다. 언약의 하나님에게 의지합니다. “여호와여! 주는 (9____)히 계시오며 주의 보좌는 (10____)에 이르나이다. 주께서 어찌하여 우리를 영원히 잊으시오며, 우리를 이같이 […]
예레미야애가 4장 멸망 후 예루살렘의 모습과 작은 소망
예레미야애가 4장 멸망 후 예루살렘의 모습과 작은 소망
애 4:10
예레미야애가 4장은 1-2장을 요약 반복합니다. 교회(유다)의 비참한 상황을 여러 가지 은유로 표현합니다. 빛을 잃어버린 “순금”(1절), 곧 순금에 비할 만큼 보배로운 그것이 토기장이가 만든 질항아리처럼 천박하게 되고(2절), 잔인한 광야의 “타조”처럼 변하고(3절), 젖먹이가 목이 마르지만 먹을 것 줄 사람이 없는 상황으로 묘사합니다(4절). “이제는 딸 내 백성의 (1___)가 (2____)의 죄악보다 무겁도다.”(6절) 여호와께서 예루살렘과 그 터를 불로 사른 것은 “(3_____)들의 죄들과 (4_____)들의 죄악들 때문”(13절)입니다. “그들이 성읍 안에서 (5____)들의 (6___)를 흘렸”(13절)기 때문입니다.
종교 지도자들의 죄는 교회의 전체 문제와 무관하지 않습니다. 영적 지도자가 배교할 때 백성도 그 길을 따릅니다. 지도자와 백성은 서로 영적 영향을 주고받습니다. 오늘 교회도 예루살렘의 모습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