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다우리교회

이 저자는 아직 상세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So far 다우리교회 has created 1512 blog entries.

스바냐 2장 언약백성을 향한 회개의 촉구와 열방의 멸망

스바냐 2장 언약백성을 향한 회개의 촉구와 열방의 멸망

습 2:3

 

공의의 하나님은 동시에 사랑의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은 회개의 기회를 주십니다(1-2절). 여호와를 “찾으라”(3절)고 권고합니다. “여호와의 (1____)를 지키는 세상의 모든 (2____)한 자들아! 너희는 여호와를 찾으라. 공의와 (3____)을 구하라. 너희가 혹시 여호와의 (4____)의 날에 숨김을 얻으리라.”(3절)

 

이어 이스라엘의 죄 뿐만 아니라, 이웃 나라들을 향한 심판의 날에 대해서도 예언합니다. 그들은 교만하여 “(5____) 성이라 (6____) 없이 거주하며 마음속에 이르기를 오직 (7___)만 있고 나 외에는 다른 이가 (8____)”(15절)라고 말합니다. 그들의 죄는 교만입니다. “……그들이 만군의 여호와의 백성에 대하여 (9____)하여졌음이라.”(10절) 그들은 하나님의 심판을 피하지 못할 것입니다.

 

답: 1. 규례, 2. 경건, 3. 겸손, 4. 분노, 5. 기쁜, 6. 염려, 7. 나, 8. 없다, […]

스바냐 1장 언약백성을 향한 여호와의 날

스바냐 1장 언약백성을 향한 여호와의 날

습 1:1

 

하나님은 공의로우신 분이십니다. 죄에 대해 그냥 넘어가지 않습니다. “내가 (1___) 위에서 (2____) 것을 진멸하리라.”(2절) 남 유다는 언약의 하나님을 버리고 언약의 말씀을 어기고 있습니다. 불신앙과 불의한 삶의 실상은 놀라울 정도로 심각합니다. “또 지붕에서 하늘의 뭇 (3___)에게 경배하는 자들과 경배하여 여호와께 맹세하면서 (4____)을 가리켜 맹세하는 자들과 여호와를 배반하고 따르지 아니한 자들과 여호와를 찾지도 아니하며 구하지도 아니한 자들을 멸절하리라.”(5-6절) 첫째는 우상숭배자, 둘째는 혼합주의자, 셋째는 배교자와 변절자, 넷째는 무신론자를 멸할 것입니다. 이런 이들은 현대에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이스라엘은 언약백성으로서 하나님과 특별한 관계에 있는 자들입니다. 그런데도 그들은 “여호와께서는 (5___)도 내리지 아니하시며 (6___)도 내리지 아니하시리라”(12절)라고 말하는 자들이 있다니, 놀랍습니다. 언약의 하나님이 […]

스바냐 서론

스바냐

 

스바냐는 유다 왕(요시야) 시대에 활동한 선지자입니다. “아몬의 아들 유다 왕 요시야의 시대에 스바냐에게 임한 여호와의 말씀이라.”(1절) 그는 히스기야의 현손(1절)이니 왕족입니다. 주전 637-609년 사이에 예언한 것으로 보입니다. 주요 내용은 “여호와의 날”입니다. 곧 다가올 심판에 대한 것입니다. 요시야 왕 시대에 종교개혁이 있었지만, 그 후에도 여전히 백성의 삶은 크게 바뀌지 않습니다(예레미야, 나훔, 하박국을 읽어보라). 교만하고 불경건한 자들을 하나님이 분명히 심판하실 것임을 선포합니다. 그러나 스바냐 선지자는 하나님은 긍휼이 풍성하셔 회개의 기회를 주신다는 것을 잊지 않습니다. 이 약속은 선지자가 믿고 외치는 소망이며 동시에 하나님이 주시는 희망입니다.

 

내용

1:1-6 유다에게 다가오는 심판

1:7-3:8 여호와의 날

3:9-20 스뱌냐의 소망

 

하박국 3장 하박국의 기도

하박국 3장 하박국의 기도

합 3:2

 

하박국 3장은 기도 형식의 시(詩)입니다. 다윗의 시도 기도로 표현됩니다(시 72:20). 세속 문화가 인간의 위대함을 자랑하지만, 기독교 문화는 기도로 하나님의 위대함을 찬송합니다. 하박국은 공의와 사랑의 하나님에 관한 소식을 듣고 놀라 고백합니다. “여호와여, 주는 주의 (1___)을 이 (2____) 내에 (3____)하게 하옵소서. 이 수년 내에 나타내시옵소서. (4____) 중에라도 (5____)을 잊지 마옵소서.”(2절)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은 과거 홍해에서 이집트인을 심판하고 이스라엘을 구원하던 길에 남아 있습니다. “데만에서부터”(에돔 지역)와 “바란 산에서부터”(이집트와 에돔 사이 지역)에 잘 표현 됩니다(3절). 하나님의 일은 불덩이처럼 무섭고(5절), 땅이 진동하고, 영원할 것 같은 크고 작은 산이 무너질 만큼 대단할 것입니다(6절). 구산과 미디안 땅은 시내광야 근처인데(7절), 여호와가 말을 타고 구원의 병거를 몰고, […]

하박국 2장 여호와의 응답(2)

하박국 2장 여호와의 응답(2)

합 2:4

 

하박국 선지자의 고민은 ‘하나님이 왜 악에 대해 침묵하시는가?’입니다. 하나님이 하박국의 질문에 대답합니다. 하박국은 그 대답을 달리면서도 읽을 수 있을 수 있을 정도로 “(1____)히” 게시판에 새겨야 합니다(2절). 악인이 세상에 가득하지만 “(2____)은 그의 (3____)으로 말미암아 살리라”(4절)라고 옥외 광고판에 크게 새겨야 합니다. 바로 이 구절은 로마서(롬 1:16-17)와 갈라디아서의 중심 주제입니다. 성경에서 말하는 의인은 흠없는 자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의인은 여전히 연약하지만 하나님의 은혜로 죄를 용서 받는다는 것과 자신에 관해서는 자랑할 것이 없다는 것을 아는 자입니다.

 

하박국 2장에는 “화 있을진저”라는 문구가 5번(6, 9, 12, 15, 19절)이나 등장합니다. 악인에 대한 하나님의 경고입니다. 이 경고는 불의한 남 유다(1-11절)뿐만 아니라 바빌론(12-20절)에게도 향합니다. 모든 세상의 불의에 […]

하박국 1장 하박국의 호소(1), 여호와의 응답(1), 그리고 하박국의 호소(2)

하박국 1장 하박국의 호소(1), 여호와의 응답(1), 그리고 하박국의 호소(2)

합 1:1

 

하박국은 남 유다의 도덕적으로 타락한 상황 가운데 예언합니다. 요시야 왕이 성전을 보수하던 중 발견한 율법 책(아마도 신명기)에 따라 종교개혁을 시도했습니다. 산당을 제거하고 우상들을 없앴습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도덕적 삶을 변화시키지는 못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은 동시대에 예언했던 예레미야 선지자도 동일하게 지적한 부분입니다(렘 7:4-11). “겁탈과 (1____)가 내 앞에 있고 변론과 (2____)이 일어났나이다.”(3절) 이런 가운데 선지자는 하나님께 이렇게 묻습니다. “여호와여, 내가 부르짖어도 주께서 (3____) 아니하시니 어느 때(4____)리이까?”(2절) “어느 때까지”(how long)이라는 단어는 시편에서 수없이 만나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시 6:4; 80:5; 82:2; 90:13). 하나님 앞에서 선 인간의 고뇌입니다. 이런 질문은 예나 지금이나 동일합니다. 경건한 자들이 핍박과 고난을 […]

하박국 서론

하박국

 

하박국이 누군지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이름의 뜻은 ‘움켜쥐다’입니다. 하박국은 두 가지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첫째, 유다의 영적ㆍ육적 타락입니다. 둘째, 바빌론인의 멸망입니다. 두 가지 내용이 교차되며 나열됩니다.

하박국이 사역한 시기는 하박국 1장 4절에서 추론할 수 있습니다. “이러므로 율법이 해이하고 정의가 전혀 시행되지 못하오니, 이는 악인이 의인을 에워쌌으므로 정의가 굽게 행하여짐이니이다.” 유다 왕 요시야의 개혁(왕하 23장)이 있던 주전 621이 지난 후와 갈그미스 전투가 있던 주전 605년 사이 일 것으로 보입니다. 아마도 하박국 선지자도 예레미야처럼 주전 597년 경 바빌론의 예루살렘 공격 경험했을 것(3:16)입니다.

본서는 세 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그 중 한 장(3장)은 종말론적 시로 되어 있습니다.

 

내용

1:1-4 하박국의 호소(1)

1:5-11 여호와의 응답(1)

1:12-17 하박국의 호소(2)

2:1-20 여호와의 응답(2)

3:1-19 […]

나훔 3장 니느웨의 파멸 근거

나훔 3장 니느웨의 파멸 근거

나 3:1

 

니느웨가 거의 100년 동안의 영화를 누렸지만 하나님 앞에서 죄악으로 가득합니다. “화 있을진저, (1___)의 성이여! 그 안에는 (2____)이 가득하고 (3____)이 가득하며 (4____)가 떠나지 아니하는도다.”(1절) 하나님은 세상의 모든 불의에 대해 반드시 심판하십니다. 니느웨도 그런 하나님의 심판을 받게 됩니다. “휙휙 하는 (5____) 소리, 윙윙 하는 (6____) 바퀴 소리, 뛰는 (7___), 달리는 병거, 충돌하는 (8____), 번쩍이는 (9___), 번개 같은 (10___), 죽임 당한 자의 떼, 주검의 큰 무더기, 무수한 (11____)여! 사람이 그 시체에 걸려 넘어지니”(2-3절)

 

니느웨는 정치뿐만 아니라 종교적으로도 주변 나라에 영향을 주는데 특별히 여신(Ishtar) 숭배를 전파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는 마술에 능한 (12____)의 음녀가 많은 (13____)을 함이라. 그가 그의 음행으로 여러 […]

나훔 2장 니느웨의 파멸 묘사

나훔 2장 니느웨의 파멸 묘사

나 2:10

 

죄인을 향한 하나님의 심판은 언약백성을 향한 영광의 회복을 보여주는 반대측면입니다. “여호와께서 야곱의 영광을 (1____)하시되 이스라엘의 영광 같게 하시나니”(2절) 거대한 제국 아시리아의 수도 니느웨는 매우 큰 도시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티그리스 강물이 흘러가고 열다섯 개의 성문을 가진 내벽과 외벽으로 된 성곽으로 둘러 싸여 있고 해자(垓字)와 강으로 둘러싸인 튼튼한 성입니다(6-10절). 그러나 메대(Medes)와 바빌론(Babylon)의 등장으로 아시리아는 처참하게 멸망합니다. “니느웨가 (2____)하였고 (3____)하였도다. 주민이 (4____)하여 그 무릎이 서로 부딪히며, 모든 허리가 아프게 되며 모든 낯이 빛을 잃도다.”(10절) 아시리아의 왕을 사자 형상으로 기념한 것에서 11-12절의 수 사자와 암 사자, 그리고 새끼 사자로 비유합니다. 동물의 최고인 사자처럼 군림했던 아시리아가 처참한 처지게 이르게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