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다우리교회

이 저자는 아직 상세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So far 다우리교회 has created 1458 blog entries.

예레미야 41장 이스마엘의 쿠데타와 총독 그다랴의 죽음

예레미야 41장 이스마엘의 쿠데타와 총독 그다랴의 죽음

렘 41:3

 

유다 백성 가운데 어느새 독립전쟁을 외치는 자들이 생겨났습니다. 시드기야 통치 시절 장관이었던 이스마엘은 총독 (1_____)를 칼로 죽이고 그의 부하들과 예루살렘에 주둔하던 바빌론 군사들까지 죽여 쿠데타를 일으킵니다(2절). 또 이스마엘은 성전파괴와 유다의 몰락을 슬퍼하며 초막절을 지키러 온 순례자 (2____) 명을 죽이려 합니다. 그 때 10명은 곡식을 저장해 둔 곳을 가르쳐준다는 딜을 해 살아남습니다. 이스마엘은 미스바에 남아 있던 “왕의 (3___)들과 모든 백성”을 붙잡아 암몬 자손에게로 도망갑니다(5-8절). 반란 소식을 들은 요하난이 군대를 이끌고 이스마엘을 추격해 기브온 큰 물가에서 만납니다. 그러자 붙잡혀 가던 모든 백성이 요하난에게로 도망쳐왔습니다. 이스마엘과 동료들은 당황하여 (4____) 자손에게로 도망갑니다(15절).

정세는 급박하게 돌아갑니다. 요하난과 지도부는 바빌론의 […]

예레미야 40장 예레미야의 자유와 총독 그다랴

예레미야 40장 예레미야의 자유와 총독 그다랴

렘 40:9

 

그런데 전쟁 중 착오로 예레미야가 사슬로 결박되어 바빌론으로 잡혀갑니다. 후에 잘못을 알아차린 느부사라단은 (1____)에서 예레미야를 풀어줍니다(1절). 느부사라단은 예레미야에게 선택의 자유를 줍니다. 예루살렘으로 돌아가기를 원하는 예레미야에게 양식과 선물을 주며 유다의 총독으로 임명된 (2_____)의 보호 아래 둡니다(6절). 총독 그다랴는 예레미야가 예언했던 그대로 따릅니다. “너희는 갈대아 사람을 섬기기를 (3_____)하지 말고 이 땅에 살면서 (4_____)의 왕을 섬기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유익하리라.”(9절) 좀 안정이 되자 피난 갔던 유다인이 돌아와 미스바에 있는 그다랴 총독의 보호 아래 들어갑니다(10-12절). 예레미야를 포함해 모두 유다 민족주의자들의 눈에는 배신자들에 불과했을 것입니다.

 

유다인 가운데 여전히 바빌론 침략과 지배를 반대하는 독립주의자들이 있었습니다. 암몬 자손의 지원을 받은 이스마엘이 총독 그다랴를 […]

예레미야 39장 예루살렘의 멸망

예레미야 39장 예루살렘의 멸망

렘 39:10

 

예루살렘의 처참한 멸망이 시작됩니다. 바빌론 느부갓네살 왕이 예루살렘을 공격합니다. 유다의 시드기야 왕 통치 제(1___)년 열째 달, 아마도 주전 589년 12월(혹은 주전 588년 1월) 즈음으로 보입니다(1절). 포위가 시작된 지 2년이 못된 시드기야 통치 제(2____)년 넷째 달 아홉 째 날에 성이 함락됩니다. 대략 주전 587년 6/7월로 봅니다.

 

예레미야 39-45장은 예루살렘 멸망과 그 후의 일에 대해 상세하게 보여줍니다. 39장 1-10절의 내용은 52장 4-16절과 열왕기하 25장 1-12절과 거의 일치합니다. 시드기야 왕은 예레미야의 권고(항복)를 듣지 않고 몰래 도망을 가다가 아라바에서 붙잡혀 (3_____) 평원에 머물고 있던 느부갓네살 왕에게 끌려갑니다(5절). 시드기야 왕은 항복하지 않고 저항한 것 때문에 무시무시한 처벌을 당합니다. 바빌론 왕은 시드기야의 (4____)들과 […]

예레미야 38장 구덩이에 갇힌 예레미야

예레미야 38장 구덩이에 갇힌 예레미야

렘 38:2

 

예루살렘의 고관들, 스바댜ㆍ그다랴ㆍ유갈ㆍ바스훌이 시드기야 왕에게 예레미야를 고소합니다(1, 4절). “……이 사람이 백성의 (1____)을 구하지 아니하고 (2____)을 구하오니, 청하건대 이 사람을 죽이소서. 그가 이같이 말하여 이 성에 남은 군사의 손과 모든 백성의 손을 (3___)하게 하나이다.”(4절) 이들의 판단은 논리적이고 합리적입니다. 예레미야는 바빌론에게 대항해 싸우지 말고 포로가 되라고 말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항복하라는 권면은 매국노나 하는 말입니다. 민족주의 관점에서는 예레미야의 예언은 사기를 떨어뜨릴 뿐입니다.

하지만, 예레미야의 예언은 온 세상의 국가를 통치하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온 것입니다. 하나님의 통치는 단순히 이스라엘 백성이라는 민족주의적 관점에서만 설명할 수 없습니다.

 

시드기야 왕은 권위도 힘도 없습니다. “보라, 그가 너희 (4___) 안에 있느니라. (5___)은 조금도 너희를 거스를 수 없느니라.”(5절) 예레미야를 […]

예레미야 37장 세계정세의 변화와 흔들리는 시드기야

예레미야 37장 세계정세의 변화와 흔들리는 시드기야

렘 37:15

 

예레미야 37장은 (1______) 왕이 통치하던 시기에 관한 것입니다(1절). 시드기야(요시아의 아들)는 주전 597-586동안 다스렸고, “고니야”(Coniah, 22:24)는 주전 598-597년, 곧 3달 동안 다스리다가 왕위에서 쫓겨났습니다. 그의 이름은 “여고냐”(Jeconiah 24:1)라고 불리기도 하고, “여호야긴”(Jehoiachin 왕하 24:8)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시드기야 왕은 급변하는 정세에 어떻게 해야 할지 모릅니다. 예레미야에게 기도해 달라고 부탁도 합니다(3절, 이 이야기는 21:1-10에 나옵니다). 이집트의 파라오가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을 향해 온다는 소문을 들은 바빌론 군대가 예루살렘을 포위했다가 두려워 떠났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되자 예레미야의 예언이 틀리고 바빌론은 예루살렘을 더 이상 괴롭히지 못할 것이라는 생각이 우세합니다. 제1-2차 포로 때 잡혀가지 않고 남은 예루살렘의 고관들은 예레미야의 예언을 매우 싫어합니다. 고관들은 […]

예레미야 36장 바룩의 경고를 왕이 거절함

예레미야 36장 바룩의 경고를 왕이 거절함

렘 36:23

 

예레미야 36장은 요시야의 아들 여호야김 제4년에 임한 예언입니다. 그러니까, 바빌론이 강제로 유다를 속국으로 만들기 전, 즉 유다를 포로로 끌고 가기 바로 전 주전 605년 즈음으로 보입니다.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지시로 예언의 말씀을 (1____)을 통해 두루마리에 기록하도록 합니다(4절). 바룩은 두루마리를 가지고 금식일에 성전에서 백성에게 읽어줍니다. 그것을 들은 미가야가 여러 고관에게 알립니다. 고관들이 바룩을 불러 직접 두루마리의 말씀을 듣습니다. 고관들이 왕 여호야김에게 아룁니다. 왕이 그를 불러 두루마리를 가져와 읽도록 합니다. 그런데 “서너 쪽을 낭독하면 왕이 (2___)로 그것을 연하여 베어 화로 (3___)에 던져서 두루마리를 모두”(23절) 태워버립니다. 하나님에 대한 경외함이 전혀 없습니다. 신하들이 말려도 소용없습니다. “왕과 그의 신하들이 이 […]

예레미야 35장 조상의 명령을 지키는 레갑 자손들

예레미야 35장 조상의 명령을 지키는 레갑 자손들

렘 35:14

 

예레미야 35장은 여호야김 때에 있었던 사건을 기록한 것이기에 34장에 이어지는 역사적 사건이 아닙니다. 하나님은 레갑 족속(the Rechabites)을 예를 들어 언약에 신실하지 못한 이스라엘을 지적합니다. 레갑 족속은 겐 족속(삿 4:11; 삼상 15:6)으로 모세의 아내 십보라 집안 민족입니다. “야베스에 살던 서기관 종족 곧 디랏 종족과 시므앗 종족과 수갓 종족이니. 이는 다 레갑 가문의 조상 함맛에게서 나온 겐 종족이더라.”(대상 2:55) 레갑인은 바빌론의 침략 때 집시처럼 유랑하며 살다가 예루살렘으로 도망 와 삽니다(11절). 이들은 아주 독특한 생활 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자신들의 조상 요나답이 명령한 것입니다. 첫째, (1____) 동안 포도주를 마시지 않습니다. 둘째, 집을 짓지 않고 (2____)에 삽니다(9-10절). […]

예레미야 34장 언약을 깨뜨린 왕과 고관들

예레미야 34장 언약을 깨뜨린 왕과 고관들

렘 34:17

 

이제 유다의 멸망이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예레미야는 시드기야 왕이 바빌론 포로로 잡겠지만 평안히 죽게 될 것이라고 예언합니다(3-4절). 바빌론의 공격이 있을 때(주전 587년) (1______) 왕은 노예들을 일시적으로 해방시켜(8절) 군인으로 싸우도록 한 것 같습니다. 안식년이나 희년에 노예를 반드시 돌려주어야 했던(출 21:2; 신 15:12) 법을 어겨오다가 위급한 상황에 사용하기 위해 그 법을 지킨 것입니다. 이 계약에 가담한 사람들은 고관들과 모든 백성입니다. 마치 회개하는 것 같지만, 그들의 진짜 마음은 곧 드러납니다. 바빌론의 공격이 뜸해지자(“후에”,11절) 변심하고 잡아다가 다시 (2____)로 만듭니다. 언약을 깨뜨린 행동을 보고 벌합니다. “……너희가 나에게 순종하지 아니하고 각기 형제와 이웃에게 (3____)를 선포한 것을 실행하지 아니하였은즉, 내가 너희를 대적하여 […]

예레미야 33장 바빌론 포로 귀환의 약속

예레미야 33장 바빌론 포로 귀환의 약속

렘 33:15

 

예레미야가 여전히 시위대 뜰에 갇혀 있을 때 하나님의 말씀이 임합니다. “너는 내게 부르짖으라. 내가 네게 (1____)하겠고 네가 알지 못하는 크고 (2____)한 일을 네게 보이리라.”(3절) 하나님이 회복을 약속했기 때문에 유다 백성은 기도할 수 있습니다. 성도가 기도하는 것은 좋은 것을 주신다는 하나님의 약속(마 7:11)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은 죄로 멸망할 예루살렘을 다시 회복시킬 것이라고 약속합니다. “내가 그들을 내게 범한 그 모든 (3____)에서 정하게 하며, 그들이 내게 범하며 행한 모든 죄악을 (4___)할 것이라.”(8절) 그 때에는 “만군의 여호와께 (5____)하라. 여호와는 (6___)하시니 그 인자하심이 영원하다”(11절)라는 감사의 찬양이 크게 들릴 것입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배교에도 불구하고 다윗의 집에 영원한 언약을 기억하고 “한 공의로운 […]

Go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