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전서
베드로전서(Peter+前書)는 베드로가 일반(공)교회(a catholic churches)에 보낸 첫 번째 편지입니다. 베드로전서의 저자는 베드로이며 실루아노(실라, 5:12)가 대필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 편지는 로마제국의 황제 네로(Nero, 통치기간 주후 54~68)로 인해 로마의 그리스도인이 핍박을 받고 있는 시기에 쓰였을 것으로 봅니다. 베드로가 살아 있는 시기였으니 네로 박해 때 순교한 주후 67~68년 이전에 기록되었을 것이고, 바울의 옥중서신(주후 60년)을 알고 있다고 보면 그 이전으로 볼 수도 없습니다. 그러므로 베드로전서의 기록연대는 대략 주후 60년대 초일 것입니다.
이 편지의 수신자는 지금의 터키 지역에 있는 그리스도인입니다. 그들은 고난 가운데 있습니다. 베드로는 고난 받는 그리스도인이 이 세상에서 본향 찾는 나그네(1:1, 17; 2:11)로서 하나님을 경외함으로 선을 행하며 인내하라고 권면합니다. 그래서 베드로전서는 ‘소망의 서신’(1:3, 13, 21; 3:15)이라고 불립니다. 실루아노(실라)는 바울과 함께 했던 동역자이지만, 베드로의 편지를 대필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베드로전서는 베드로와 바울의 신학이 만나는 지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 사도는 같은 복음을 전한 자임이 베드로전서에서 확인됩니다.
내용
1:1-2:10 문안과 소망 있는 삶
2:11-4:11 그리스도인의 본이 되는 삶
4:12-5:11 고난 속의 믿음
5:12-14 인사
베드로전서 1장 문안과 산 소망 가운데 거룩한 자가 되라
주요 구절: 벧전 1:10
“예수 그리스도의 (1____) 베드로”(1절)에 관한 정보는 복음서와 사도행전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는 평범한 어부출신 제자로서 실수도 많고 성급한 성격의 소유자입니다. 하지만, 베드로는 오순절 성령강림 이후 교회를 세우는 놀라운 일을 한 사도입니다. 그는 지금의 터키 지역, 곧 “본도, 갈라디아, 마케도니아, 아시아와 비두니아에 흩어진 (2_____)”에게 편지를 보냅니다. 그들은 핍박과 고난 가운데 있어 보잘 것 없어 보이지만 “하나님 아버지의 미리 아심을 따라 성령이 거룩하게 하심으로 (3____)함과 예수 그리스도의 피 뿌림을 얻기 위하여 택하심을 받은 자들”(2절)입니다. “미리 아심”과 “택하심을 받은 자들”이라는 표현은 하나님의 작정과 선택, 그리고 예정교리를 분명히 합니다. 2절에는 ‘성부 하나님의 작정’과 ‘성자 하나님의 피의 속죄’, 그리고 ‘성령 하나님의 성화 사역’이 선포됩니다. 3절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이 성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아버지 하나님을 찬송하리로다. 그의 많으신 긍휼대로 예수 그리스도를 죽은 자 가운데서 (4____)하게 하심으로 말미암아 우리를 거듭나게 하사 산 소망이 있게 하시며”(3절) 이 “산 소망”, 곧 믿음으로 구원 받은 성도는 하나님의 능력으로 보호를 받습니다(5절). 성도는 세상에서 당하는 시험 때문에 근심 할 수 있지만 절망할 필요가 없고 오히려 크게 기뻐할 수 있습니다. “믿음의 확실함”(7절)이 ‘불로 연단’하는 고통이지만, 예수 그리스도가 나타날 때에 “칭찬과 영광과 존귀”(7절)를 얻게 할 것입니다. “확실함”은 시험(Trial) 혹은 진실성(Genuineness)을 의미합니다. 비록 예수 그리스도를 보지 못하지만(요 20:29) 사랑하고 믿어 말할 수 없는 영광스러운 즐거움으로 기뻐합니다. “믿음의 (5____), 곧 영혼의 구원을 받”(9절)기 때문입니다. “결국”은 목적(End)입니다. 우리가 얻은 이 구원은 이미 구약의 선지자들이 성령의 감동으로 예언했던 것입니다(10-12절).
그러므로 ‘산 소망’인 구원을 약속 받은 성도는 “은혜”(13절)를 바라보면서 행실을 거룩하게 해야 합니다(13-16절). 또 “흠 없고 점 없는 어린 (6___) 같은 그리스도의 보배로운 피”(19절)로 대속함을 받았기 때문에 나그네로 사는 그리스도인은 두려움으로 지내야 합니다(17절). 그리스도인은 ‘믿음과 소망’을 가졌으니 “뜨겁게 서로 (7____)”해야 합니다(21-22절). 그리고 거듭 난 것은 “살아 있고 항상 있는 하나님의 (8____)”(23절)으로 된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23-25절).
생각하기 | |
신자가 고난 가운데 기뻐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
해답 | |
답: 1. 사도, 2. 나그네, 3. 순종, 4. 부활, 5. 결국, 6. 양, 7. 사랑, 8. 말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