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더
주전 539년: 메데-바사 왕국의 등장(고레스), 주전 538년 제1차 예루살렘 귀환 주전 529년: 콤비세스(Combyses)가 왕위 계승 주전 521년: 다리오(Darius)가 왕위를 계승 주전 515년: 학개와 스가랴 선지자의 권면과 격려로 스룹바벨과 대제사장 예수아의 지휘 아래 예루살렘의 성전이 완공 주전 486년: 아하수에로(Xerxes I: 크세르크세스, 재위 주전 486-465)가 왕이 됨(에스더서의 배경) 주전 465년: 아닥사스다(Artaxerxes I; ~주전 424까지 통치; 느헤미야) 주전 458년: 에스라를 보냄 (제2차 예루살렘 귀환) 주전 444년: 느헤미야를 보냄 (제3차 예루살렘 귀환)
|
에스더서의 저자가 누구인지 분명하지 않습니다. 에스더서에는 하나님이라는 이름이 한 번도 등장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에스더서는 하나님의 진노로 강대국 바빌론과 페르시아의 공격으로 ‘흩어진 이스라엘 백성’(Diaspora)이 하나님의 섭리 가운데 보존되고 보호받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에스더서는 구속역사에서 없어서는 안 될 귀한 성경입니다. 창세기 3장 15절에서 예언된 여자의 씨와 뱀의 씨의 치열한 싸움이 여전히 계속되고 있음을 에스더서가 보여 줍니다. 결국 여자의 씨가 승리한다는 것을 전합니다. 에스더서에서 에스더와 모르드개가 주인공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하나님이 주인공이십니다. 하나님이 인간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당신의 교회를 어떻게 보존하고 계신 지를 보여줍니다.
유다인을 몰살시키기 위해 날짜를 제비뽑은 것을 잊지 않기 위해 ‘제비’라는 말의 히브리어 ‘부림’(Purim)에서 ‘부림절(節)’을 지금도 지키고 있습니다. 이 부림절에 유대인은 에스더서 전체를 큰 소리로 읽습니다.
내용
1-2장: 유다인 에스더가 왕비가 됨
3-5장: 유다인의 대적 하만의 음모
6-7장: 하만의 음모가 무산되고 자신이 처형당함
8-10장: 유다의 구원과 부림절의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