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33편 구원받은 백성의 찬양(교회의 노래)

시 33:12

이미지: 실외

시편 33편은 한 묶음(25-33편) 시의 마지막에 해당합니다. 이 시편은 25편처럼 알파벳 시는 아니지만, 22개의 알파벳 개수처럼 총 22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3편의 분위기는 ‘감사와 찬송’(2절), ‘즐거움과 아름다움’(3, 21절)이 가득합니다. 32편의 하나님으로부터 죄를 용서 받은 ‘의인들’(1절)이 누리게 될 감사의 기쁨을 노래합니다. “너희 (1____)들아! 여호와를 즐거워하라! 찬송은 (2____)한 자들이 마땅히 할 바로다.”(1절) 악기는 즐거움을 표현하는 방법 가운데 하나입니다. “(3____)으로 여호와께 (4____)하고 열 줄 비파로 (5____)할지어다. 새 노래로 그를 (6____)하며 즐거운 (7____)로 아름답게 연주할지어다.”(2-3절)

 

찬송할 내용이 3-19절에 나옵니다. 회중이 33편을 합창하면, 레위인 지휘자가 1-3절을 노래하고 찬양대가 4-19절을 합창하고 온 회중들이 20-22절로 아멘을 노래했을 것입니다. ‘새 노래’는 구원의 순간에 부릅니다. 이스라엘 역사에서 이런 찬양을 찾을 수 있습니다. 여호사밧 왕이 아람과의 전쟁에 앞서 찬양한 것을 연상시킵니다(대하 19-20장). 또 히스기야 왕이 아시리아 산헤립의 공격으로부터 벗어나게 된 정황(왕상 19장)입니다. 민족적 구원의 순간입니다. 특히 10-11절과 16-19절에 두드러집니다. “여호와께서 나라들의 (8____)을 폐하시며 민족들의 (9____)을 무효하게 하시도다. 여호와의 계획은 영원히 서고 그의 생각은 대대에 이르리로다.”(10-11절) 강대국의 계획과 생각은 인간 세계에서 절대적 힘을 자랑하지만, 하나님의 백성에게 그런 것들은 헛될 뿐입니다. “많은 (10____)로 구원 얻은 왕이 없으며 용사가 (11___)이 세어도 스스로 구원하지 못하는도다. 구원하는 데에 (12____)는 헛되며 (13____)가 많다 하여도 능히 구하지 못하는도다. 여호와는 그를 경외하는 자 곧 그의 인자하심을 바라는 자를 살피사, 그들의 (14____)을 사망에서 건지시며 그들이 (15____)릴 때에 그들을 살리시는도다.”(17-19절)

 

특별히 하나님의 다스림은 “여호와의 말씀”으로 됩니다(4-9절). “여호와의 (16____)으로 하늘이 (17____)이 되었으며 그 만상을 그의 입 (18____)으로 이루었도다.”(6절) 이렇게 하나님의 말씀의 다스림을 받는 백성은 복이 있습니다(12절). 오늘 하나님의 백성의 모임 교회에 속한 우리가 바로 그런 복된 자들입니다. 33편은 교회적 노래입니다. “우리”(20-22절)라는 표현이 그것을 보여줍니다.

 

답: 1. 의인, 2. 정직, 3. 수금, 4. 감사, 5. 찬송, 6. 노래, 7. 소리, 8. 계획, 9. 사상, 10. 군대, 11. 힘, 12. 군마, 13. 군대, 14. 영혼, 15. 굶주, 16. 말씀, 17. 지음, 18. 기운

 

Wikipedia: Triumph of Jehosaphat over Adad of Syria as illustrated by Jean Fouquet (1470s) for Josephus’ Antiquities of the Jews.